마힌드라 '실적따라 쌍용차 해고노동자 복직…정치적 외압은 안돼'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쌍용자동차의 최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 그룹이 향후 쌍용차 해고 노동자의 부분 복직이 영업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적 외압에 의해 추가 인력고용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쌍용차 회생에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마힌드라측의 주장이다.17일 마힌드라 그룹에 따르면 아닌드 마힌드라 마힌드라&마힌드라 회장과 파완 고엔카 쌍용차 이사회 의장은 지난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홍영표·은수미 의원(이상 민주당), 심상정 의원(정의당), 권영순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이 인도 마힌드라 본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고엔카 의장은 "마힌드라의 쌍용차 인수 이전인 2009년의 해고 노동자의 부분 복직 문제는 비즈니스 상황과 영업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이뤄질 예정"이라며 "추가인력 고용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X100(프로젝트명)의 생산이 시작되는 2014년 말에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또한 "충분한 영업 실적을 동반하지 않고 정치적 외압에 의해 추가인력 고용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쌍용차 회생에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 경우 2009년과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이에 한국 국회의원들은 쌍용차의 빠른 비즈니스 상황 개선으로 2009년 해고 노동자의 조기 복직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고 마힌드라는 전했다.고엔카 의장은 "쌍용차가 2017년까지 3∼4년에 걸쳐 (X100을 제외한) 3개의 산차 모델 개발을 위해 1조원을 투자할 것이며 마힌드라도 필요할 경우 쌍용차에 추가 투자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앞서 마힌드라가 지난 해 밝힌 투자내용과 동일하다. 마힌드라는 이 일환으로 올초 쌍용차에 대한 8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실시했다.아난드 마힌드라 회장은 "쌍용차가 2011년 인수합병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그룹의 장기적인 비전을 이루기 위해선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