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용희 기자]사람이 가장 무섭다. 모든 범죄의 근원은 사람이다. 끔찍한 연쇄 살인범이나 성폭행범이 우리 평범한 이웃 가운데 있을 수도 있다. 사람이 사람을 믿지 못하는 사회, 그것은 바로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현실이다. 영화 '공범'은 사회적인 현실을 반영했다. 영화의 모티프는 고 한채진 군 유괴사건이다. 15년 전 아이를 납치한 범죄자는 전화로 돈을 요구했다. 범인은 부모가 경찰에 사건을 신고했다는 걸 알자, 아이를 죽이고 사라져 버렸다. 감독은 이를 소재로 범죄자를 중심으로 한 스릴러물을 탄생시켰다. 국동석 감독은 실제 범죄자가 우리 사회 평범한 일반인으로 위장해서 살고 있다는 것에 착안했다. 영화가 거기까지였다면 평범한 범죄 스릴러물이지만, '공범'은 한발 더 나아간다. 감독은 피해자보다 범죄자의 삶에 초점을 맞춘다. 가해자 순만(김갑수 분)은 딸을 위해 평범하게 살아간다. 하지만, 딸은 녹음된 목소리를 통해 아버지가 범죄자란 걸 알게 되면서 비극은 시작된다. 김갑수와 손예진은 딸을 위해 평범한 삶을 살려는 아버지와 범인인걸 알면서 선뜻 신고하지 못하는 딸의 흔들리는 심리를 스크린에 풀어냈다. 손예진이 아버지를 버릴 수 없어 신고하길 주저하는 모습은 관객에게 연민을 자아낸다. 범죄 스릴러물은 범인과 경찰의 대결이 주를 이뤘다. 잔인한 범인과 그를 쫓는 수사관 두 사람의 대결이 축이었다. 이 영화는 그런 공식에서 벗어나, 범죄자와 딸의 가까운 관계를 통해 관객에게 새로운 시점으로 사건을 바라보게 만든다. 영화를 살려내는 것은 김갑수와 손예진의 연기다. 잔인한 범죄자지만, 딸을 사랑하는 범인 순만은 배달을 하며 열심히 살아간다. 김갑수는 딸이 자신이 범인이란 걸 알았을 때의 감정을 순박한 연기로 풀어냈다. 손예진의 연기는 감정이 다채롭다. 딸 다은은 의심에서 확신으로 변해가는,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심리연기를 펼쳐내야 한다. 손예진은 의심, 배신감, 망설임 세 가지 감정으로 딸의 심리를 풀어낸다. 영화 '공범'은 두 배우의 호연과 감독의 독특한 감정 연출에 힘입어 기존 스릴러와 노선을 달리하는데 성공했다. 영화는 잔인한 범죄 장면과 숨이 헐떡거리는 액션신 대신 두 배우의 감정변화를 담아냈다. 영화는 그 미묘한 심리변화를 통해 칼과 피를 버리고도 관객에게 긴장감을 유도한다. 영화 '공범'은 순만과 다은을 통해 범죄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자신이 저지른 범죄는 자신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다는 것. 과연 고 한채진 군 사건의 범인은 이 영화를 보고 무슨 생각을 할까. 24일 개봉. 황용희 기자 zoneheeya@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대중문화부 황용희 기자 zoneheey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