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에 쏠린 눈과 귀' 다음주 증시 '체크 포인트'는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이번주 코스피는 주간 기준으로 1.39% 상승했다. 주 초반 미국 연방정부의 부분 업무정지(셧다운) 장기화 우려에 코스피는 약보합 출발했다. 이후 미국의 정치적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경기회복 기대감 및 외국인 순매수로 코스피는 2000선을 회복했다. 주 중반 한글날 휴장 후 코스피는 옵션만기일을 맞이한 프로그램 매도세 및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하향 소식에 재차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재닛 옐런 의장 지명은 별다른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 주 후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공화당이 제안한 단기증액안을 거부했지만, 협상에 진전이 있어 타결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코스피는 2020선을 회복하며 한 주를 마감했다. 다음주 코스피는 여전히 강세 흐름을 타진할 것으로 보이나, 추가 상승 탄력은 강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고점 경신을 시도하면서도, 고점에 대한 부담감은 이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음주는 미국의 셧다운 해소 및 부채한도 협상, 중국의 3분기 GDP, 국내외 어닝시즌 본격화 등이 주요 변수다.한치환 KDB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정치권의 교착상태가 부채한도 도달 시점(17일)이 임박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17일까지 정부부채 증액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에 양당이 합의를 통해 증액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건강보험개혁법(오바마케어) 등 각종 현안에 대해 이견이 크다는 점은 부채한도 증액 이후에도 부담요인이나, 당장은 부채한도 우려로 억눌린 미국증시의 회복세가 한국을 비롯한 여타 글로벌 증시에 우호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정부폐쇄에 따른 경기회복 둔화 우려로 출구전략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양호한 유동성 여건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타나는 모습이다. 18일 발표될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분기 7.5%보다 높은 7.8%로 예상됐다. 곽병열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 셧다운-부채한도 협상의 진전, 중국의 3분기 GDP의 바닥권 탈출 가능성, 국내외 어닝시즌 본격화에 따른 컨센서스 충족 트렌드 등으로 코스피가 연중 고점경신(장 중 2042)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며 "2000선 전후의 이정표 징크스로 외국인 순매수와 주식형 펀드 환매가 대치됨에 따라 펀드환매의 악영향이 낮은 펀드소외주인 소재, 산업재, 금융 업종이 양호할 것"이라고 짚었다. 특히 일부 소재, 산업재 업종은 중국 3분기 GDP의 바닥 탈출이 확인될 경우 모멘텀을 받을 수 있다는 평가다. 조성준 NH농협증권 스트래티지스는 "부채한도 협상 타결 기대로 코스피의 단기 강세가 예상되지만 이를 오히려 시가총액 상위업종의 비중을 줄이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최근 국내외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하향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3분기 실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3분기 영업이익 개선이 기대되는 반도체, 소프트웨어, 유통업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