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공포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오히려 국산 수산물로까지 이어지는 등 불안은 확산되는 양상이다. 노량진 수산시장, 부산 자갈치시장 등 전국 주요 수산물 시장은 물론 횟집에 이르기까지 손님 발길이 뚝 끊겼다고 한다.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불안 심리가 국내 수산업과 음식점에까지 타격을 주고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안전하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2011년 이후 지금까지 수입된 일본산 수산물 1만2588건 중 131건에서 방사능이 검출됐지만 기준치인 100Bq/㎏에 크게 못미치는 2~5Bq/㎏ 수준으로 걱정할 게 없다는 것이다. 어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이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활어회 등을 먹으며 '막연한 불안'을 경계할 것을 당부하는 이벤트를 벌였다. 하지만 이런 식의 전시성 행사로 국민 불안이 가실지 의문이다. 납득할 수 없는 건 검역 체계의 이중 잣대다. 농산물이나 가공식품은 기준치 이내라도 방사성 세슘과 요오드가 검출되면 수입을 차단한다. 하지만 수산물은 다르다. 방사성 물질이 검출돼도 빨리 부패한다는 이유로 기준치 이하면 통관시키고 있다. 수입 중단 품목의 기준이나 이유 등이 명확하지가 않다. 정부 스스로 국민 불안을 부추기는 꼴이다. 방사능 오염수 유출 관련 정보 제공 요청에 무성의한 일본의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이에 강하게 대응하지 않는 우리 정부도 문제다. 정부는 지난달 14일에 이어 28일에 일본에 24개 항목의 방사능 오염수 유출 상황 자료를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15개 항목만 답을 보내 왔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도 별 말이 없다. 정부가 방사능 문제에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방사능에 오염됐거나 오염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단지 기준치에 미달한다는 이유만으로 국민 식탁에 올라가도록 해선 안 된다. 미국, 중국, 대만 등은 후쿠시마와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생선을 전면 수입 금지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일본 정부 스스로 출하를 제한한 품목에 대해서만 잠정 수입 중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일본 전역에서 나오는 식품에 대해 전수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식품은 기준치 이하 여부를 떠나서 전면 수입 금지하는 게 맞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