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일본은행의 양적완화를 통한 금리인하 유도정책이 장기금리를 상승을 가져왔다. 아베노믹스의 성공 가능성도 주목을 받고 있다.9일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에 따르면 일본경제가 디플레이션, 재정적자, 무역적자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일본은행의 양적완화를 통한 금리인하 유도정책이 장기금리 상승이라는 복병을 만났다.최근 일본 장기금리 상승은 일본 금융기관의 채권 투매설과 실질금리 인하 한계설, 일본재정 불안설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우 일본에 대해 장래 출구전략으로 국채가격하락(장기금리 상승)에 따른 일본은행의 손실이 최고 국내총생산(GDP)의 7.5%규모에 달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하고 완화책 해제에 신중을 기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이 아직 아베노믹스의 성패를 성급하게 판단할 단계는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아베노믹스가 일본경제의 체질개선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재정수지 악화만을 초래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 일본의 경제여건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비한 외화 유동성 확보 등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아베노믹스 회의론으로 일본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간 금융경제동향의 '미국의 양적완화와 비교한 아베노믹스의 성공 가능성'에 따르면 최근 아베노믹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불거지면서 일본 금융시장이 큰 폭의 조정을 보이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향후 아베노믹스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실물경기의 개선 여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러한 관점에서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인 '성장정책'의 실효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베노믹스에 대한 회의론 확산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의 공격적인 양적완화 정책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아베노믹스에 따른 실물경기 개선이 가시화되는 데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란 주장이다. 금리급등만으로 아베노믹스를 실패로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국가부채비율이 높고 금융기관들의 국채보유비중이 높은 일본의 여건상 과도한 금리상승세가 장기화될 경우 아베노믹스의 실패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대섭 기자 joas1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