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구글과 페이스북이 미국 정부가 주도하는 프리즘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나섰다. 이런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은 이 프로그램의 존재를 시인하고 국가안보를 위한 일이라고 해명했다.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 등에 따르면 양사는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구글의 최고 법률책임자인 데이비드 드러몬드는 "구글이 정부에 사용자들의 정보를 제공했다는 보도는 전적으로 허구이다"라고 주장했다.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는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라는 정부의 요청이나 법원의 명령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가 7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미국 정부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했다는 보도를 반박하는 글을 올렸다.
야후는 "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 엄격한 검토를 통해 꼭 필요한 경우에만 있을 수 있는 일이다"라고 해명했다.이는 워싱턴 포스트가 구글과 페이스북 등 인터넷기업들이 미국 국가안보부가 운영하는 프리즘이라는 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왔다고 폭로한 것에 대한 반응이다.월드와이드웹(WWW)의 창시자인 팀 베르너스 리 경은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일이 무척 유감이며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개인프라이버시 보호를 요구하라고 조언했다.그는 "부당한 정부의 감시는 민주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기본권 침해이다"라고 강조했다.프리즘은 NSA가 인터넷과 통신회사의 중앙서버에 접속해 인터넷 검색기록, 이메일, 파일전송, 실시간 채팅 등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주로 통신사들을 통한 정보수집이 이뤄졌지만 인터넷기업을 통해서도 이메일, 실시간 메시지, 동영상, 사진, 파일전송, 음성채팅, 로그인 시간, SNS 프로필 등 10여 가지에 달하는 정보를 수집했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백악관은 통화기록 등 개인정보 감시가 테러 위협 방지 등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일이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뤄졌다고 해명했지만 NSA가 프리즘으로 수집한 정보 가운데 외국인 관련 정보는 51%에 그치고 있어 미국민들도 정부의 정보 사찰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이를 의식한 듯 오바마 대통령은 캘리포니아 방문 중 "빅브라더 논란이 있음을 알고 있다. 이는 전적으로 사회를 위한 조치였다"고 말하며 비판을 차단하고 나섰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를 감청하는 일은 없었으며 이 프로그램이 법원의 허가를 받았으며 의회에도 관련 정보를 통보했다고 밝혔다.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