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의 남북 당국 간 회담이 곧 성사된다. 북한의 회담 제의를 받아들여 정부가 오는 12일 서울에서 회담하자고 답했다. 북한의 제의는 지난 4월 중순 이후 남한이 거듭 제안한 남북 실무회담에 대한 응답이었다. 북한은 개성공단에 그치지 않고 금강산 관광 재개와 이산가족 상봉 등도 논의하자고 했다. 개성공단 원부자재ㆍ완제품 반출 문제를 협의하자는 남한 제안보다 포괄적이다. 강경한 입장을 취해 온 북한이 태도를 바꾼 배경이 궁금하다. 지난달 한ㆍ미 정상회담에 이어 오늘과 내일 미ㆍ중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달 말에는 한ㆍ중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당연히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다. 지난달 특사의 중국 방문 이후에도 돌파구를 찾지 못한 북한이 잇따른 주변국 간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거세질 수 있는 미ㆍ중 양국의 압박을 피하려는 명분쌓기용일 수 있다.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로 심각해진 경제난을 풀기 위한 경제협력이 절실해서일 수도 있다. 남북회담 재개는 반가운 일이다. 남북 장관급 회담이 6자회담 재개로, 남북 간 긴장 완화와 상호 협력의 선순환으로 이어지고 한반도 비핵화의 단초를 제공하길 기대한다. 그러려면 남북한 모두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임해야 할 것이다. 우리 정부의 대화에 임하는 원칙과 전략이 중요하다. 현안에 대한 포괄적 협상과 함께 우선순위를 둬 순차적으로 논의하는 양면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남북 모두 절실한 개성공단 조업 재개부터 논의하는 것도 방법이다. 북한의 대화 의지를 확인하는 시금석이자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 경제협력 확대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북한도 달라진 모습을 보여야 한다. 핵을 가지면서 경제발전도 이루겠다는 '병진노선'이 국제사회에서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미ㆍ중 정상회담, 남북회담, 한ㆍ중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급류를 탈 것이다. 6ㆍ12 서울회담부터 우리 정부가 중심을 잡고 리드해 나가야 한다. 한ㆍ미ㆍ중ㆍ러ㆍ일본ㆍ북한 등 6자회담 국가의 지도자가 모두 바뀌거나 연임한 뒤 처음 등장하는 무대라서 주도권 쟁탈전이 치열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주창해 온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해 그간의 갈등과 대립의 남북 관계를 화해와 협력의 마당으로 바꾸길 기대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