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스토리]조선 왕가의 마지막 잠저 '도정궁 경원당'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
벚꽃이 풍성하다. 호숫가에 봄빛이 무르익었다. 건국대 교정 한복판에서 '도정궁 경원당'엘 가는 길을 물으면 아는 학생이 없다. 혹시나 싶어 "'ㄱ'형태로 된 옛 기와집이 어디 있느냐?"고 다시 고쳐 묻는다. 그제사 호수를 끼고 돌아서 교정 끝으로 가보라고 한다. '도정궁 경원당'은 건국대 공예관과 공학관, 뒷편의 구의초등학교로 둘러싸여 옹색하고 쇠락해 보인다. 게다가 건물을 철조망으로 휘두른 모습이 몰락한 왕가의 비운을 실감케 한다. 언뜻 봐서는 '왕가(王家)'의 건물였다는 걸 알기 어렵다. 경원당 앞에 키 작은 입간판 하나가 겨우 '도정궁 경원당'이라는 팻말을 달고 서 있다. 은근히 서러운 봄이다. "영희전, 이현궁, 어의궁, 창의궁, 운현궁, 경모궁, 육상궁, 연호궁, 저경궁, 대빈궁, 신희궁, 용동궁, 계동궁, 사동궁, 창성궁, 죽동궁…" 왕이 살았거나 왕의 아버지, 어머니 혹은 출가한 왕족이 살았던 왕가 즉 '잠저'다. 도정궁도 잠저 중 하나다. 잠저는 지금 모두 사라지고 없다.
세조의 잠저(왕이 되기 전에 살았던 집)인 영희전에는 서울중부경찰서, 인조와 효종의 잠저인 어의궁에는 롯데 시네마 피카디리극장, 사도세자의 사당이었던 경모궁에는 서울대 의학박물관, 선조와 인빈 김씨 소생인 정원군이 살고 인빈 김씨의 사당이었던 저경궁에는 한국은행(화폐금융박물관),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사당인 선희궁에는 국립서울농ㆍ맹학교, 순헌황귀비의 사당인 덕안궁에는 서울시의회와 코리아나호텔이 들어서 있다. 이처럼 왕가 즉 잠저는 역사의 흥망성쇠에 대한 교훈만 남긴 채 사라져 버렸다. 수많은 왕릉이 서울과 경기도 곳곳에 남아 있는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그나마 도정궁이 겨우 흔적을 남기고 있어 조선 왕실의 몰락을 대변해주고 있다. 도정궁은 선조의 잠저이자 그의 아버지 덕흥대원군의 가묘(家廟), 즉 사당이다. '도정궁 경원당'은 도정궁 내 한 부속건물이었다. '경원당'은 1979년 성산대로 확장 시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건국대가 인수해 연속공정연구센터 옆으로 옮겨왔다. 건국대는 이 건물을 보존하고 있다기보다는 보유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본래 놓여 있던 자리에서 이주해온 탓인지 주변 건물과도 조화롭지 못하다. 경원당은 1913년 다시 지어진 한옥이다. 용도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다. 가묘의 재실로 썼다는 설도 있으나 주거 용도였다는 설이 더 맞는 듯 하다. 건물은 'ㄱ'자형태인 걸로 미루어 주변에 많은 부속사가 있었을 것이란 걸 짐작할 수 있다. 외관은 한국 전통적 형태로, 안채에는 안방, 대청, 다락, 건넌방이 있고, 사랑채에는 침실과 응접실이 있다.
채나눔으로 이뤄진 두 건물의 접합부로 꺾이는 지점에 부엌과 찬마루가 있다. 부엌은 음식을 조리했다기보다는 야참이나 간식 정도나 차릴 수 있는 공간으로 협소하다. 따라서 경원당은 도정궁의 중심 건물은 아니었다는게 여실하다. 처마와 마루 사이에는 유리창문을 달았고, 현관은 포치형태를 취했다. 이런 형태는 일본식 가옥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건축년도가 일제시대였음을 알려준다. 입간판에는 '1876년'에 지어졌다고 쓰여있으나 틀린 부분이다. 채현석 건국대 전 박물관장은 "도정궁은 궁호부터 시작해 각 건물의 연혁, 내력, 용도 등에서 설이 난무한다"며 "경원당의 건축년도도 여러 문헌상 1913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당시 전통 한옥이 양식을 적극 수용, 개량화되던 시기로 과도기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경원당도 그 중의 하나다. 현관 포치와 더불어 안채 추녀밑에 다른 외등갓 등 일본식 양식이 이를 뒷받침한다.전통한옥이 대청으로 올라서 방으로 들어가는 것과 달리 포치와 현관문, 전실을 거쳐 각 공간으로 흩어지도록 한 동선도 전통적 양식과는 차이가 난다. 지붕은 팔짝 지붕으로 양반사대부의 집 양식을 따르면서도 축대는 2단 기단이다. 이는 왕가에서나 볼 수 있는 기단 형태다.
 도정궁은 선조 이래 500여년을 이어오며 여러차례 중수, 중건을 거쳤다. 도정궁 내에는 덕흥대원군의 사당인 '덕흥궁'이 자리하고 있으며 '도정'들이 사는 곳이란 뜻에서 도정궁으로 불렸다. 도정은 종2품으로 종실의 녹을 받으며 대대로 세습되는 능 관리직이다. 왕가의 후손에게만 해당된다. 조선 후기 덕흥대원군의 후손인 이하전은 돈녕부 참봉이 되었고, '도정'을 지냈다. 1849년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왕위 후보 1순위에 올랐다. 그러나 순조비 순원왕후는 강화도로 귀양간 은언군의 손자 원범을 데려다 아들로 삼고 왕으로 등극시켰다. 그가 바로 철종, 즉 강화도령이다. 이하전은 본래 영민하고 학문이 능한데다 인품도 훌륭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외척들이 역모로 몰아 스무살 때 죽여버렸다. 철종이 다시 후사 없이 죽어버리자 흥선대원군의 아들이 고종으로 등극했다. 흥선대원군은 이하전의 신원을 회복시켜주고 도정궁을 개축했다. 1913년 도정궁이 화재로 전소되자 조선 황실이 하사금을 내려 다시 집을 짓게 했다. 다른 잠저와 달리 흥선대원군이나 조선 황실이 도정궁에 애착을 갖는 이유는 조선 왕조가 명종 때 대가 끊겨 방계인 선조로 이어졌고, 선조 이후의 조선 왕통은 덕흥대원군에서 다시 비롯된 때문이다. 당초 도정궁은 200여필지에 이를 만큼 커다란 궁터로 알려져 있다. 일제 강점기에 여러 필지로 분할되고, 여러 번의 분필과 합필을 거쳐 지금의 종로구 사직동 262번지, 사직동 1번지 일부분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단독주택과 빌라, 업무용 빌딩, 주유소 등이 들어서 있다. 일부는 후손이 다시 사들여 기념관을 짓고 운영중이다. 또 일부는 현대그룹 일가의 소유로, 한옥 형태로 개축되는 과정에서 축대의 기단 등이 남아 옛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사직로 65(구 사직동 262번지), 지금의 주유소 자리에 도정궁 사랑채인 '경원당'이 있었다.  도정궁 경원당은 한 때 '정재문가'라고도 했다. 국회의원을 지낸 정재문씨와 그의 아버지 정해영씨(국회부의장 역임)가 50년대 초반부터 건국대 이전 직전까지 이곳에서 산 적 있다. 도로 확장 시 건국대로이전돼 건물만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 자리에는 정씨 후손들이 주요소 및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도정궁에 대해서는 다른 기회에 좀더 얘기하기로 한다.이규성 기자 peac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규성 기자 peac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