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파고드는 '북한 괴담' 기승
"삼성 등 대기업이 환율 끌어올리려 북한을 배후 조종하고 있다" 說說說유머부터 황당한 수준까지 SNS타고 뜬소문 급속 확산[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최대열 기자, 이현주 기자] 북한 미사일 공격 시 가장 안전한 곳은 어디일까? 답은 서울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명동 신세계 백화점 본점은 중국 관광객이 북적북적한 쇼핑 명소이기 때문에 북한이 절대 겨냥하지 못한다는 것. 따라서 신세계 백화점 명동 본점이 북 도발 시 가장 안전한 곳이라는 설명이다.이처럼 황당한 이야기들이 시중에 떠돌고 있다. 북한이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을 동해쪽으로 이동시켰다는 미국 정부의 공식 확인과 대북정보 감시태세인 워치콘이 3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되는 등 한반도 정세가 더욱 불안하게 전개되면서 황당무계한 말들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신세계 백화점 본점 안전론은 유머나 다름없지만 괴담에 가까운 말들도 적지 않다.삼성을 비롯한 대기업들 배후조정설로 나온다.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수출경기가 어려워지자 삼성 등 대기업이 북에 위협을 요청, 인위적으로 환율을 끌어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북 위협 이후 원달러 환율은 오름세로 이어가고 있다. 전쟁 발발시 중국에 체류중인 주재원 등 한국 국적의 사람들은 모두 중국 수용소로 끌려간다는 얘기도 급속도로 확산됐다.중국과 북한은 우호조약이 맺어져 있어 한반도에 전쟁이 나면 모두 중국 수용소에 들어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시중에 떠돌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현지에 나가있는 대기업 주재원 및 그 가족들이 대피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괴담수준에 가까운 말까지 퍼지고 있다.심지어 속보라며 "연천서 국지전 발발. F-15K 출격 현재 대치중. 경기도민 대피소로 피난중"이라는 글이 트위터로 퍼져 한 때 진위 여부를 놓고 네티즌간 왈가왈부하는 일까지 일어났다. 괴담을 넘어 잘못된 정보가 SNS를 통해 퍼진 사례다.애완동물을 위해 사료 1년치를 사뒀다는 우스꽝스러운 말도 떠돌았다. 한 미혼 여성이 전쟁에 대비 자신이 키우는 애완동물 페렛 두마리가 1년동안 먹을 수 있는 사료를 사뒀다가 주변 사람들에게 놀림을 받았다는 것이다. 전쟁 나면 잘 키워서 잡아 먹으려 한 것 아니냐며 지인들로부터 구박받았다는 후문이다.한 트위터리언은 "전쟁 모악산에 김일성 할아버지 묘? 묘가 있다고 여기는 (북한이) 공격 안할꺼라는 말이 들리네. 안심된다"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전북 완주군에 위치한 모악산에는 실제 전주 김씨 시조묘가 있어 이처럼 근거없는 얘기가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아이들 등살(?)에 밀려 부탄가스와 라면 등을 사뒀다는 실제 사례도 있다.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가 "전쟁날 수 있다"며 비상식량 등을 준비해야한다고 졸라 어쩔 수 없이 사재기를 조금 해뒀다는 것. 전쟁이 무엇인지 모르는 아이들 사이에서 전쟁공포가 퍼지면서 비롯된 우습지도 않는 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이번 북한 리스크와 관련, 깊이 있는 논평(?)도 시중에 떠돌고 있다. 현재의 사태는 미국과 북한이 짜고 치는 고스톱으로, 북한을 개혁ㆍ개방하려는 김정은이 그 이전에 미국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자 분위기를 험악하게 몰고 가고 있다는 것이다.또 오바마 미국 대통령 역시 중국을 개방시킨 닉슨처럼 북한을 개방시킨 첫 대통령으로 이름을 올리고 싶어한다는 것 설이다.이와 함께 북측이 중소기업이 아닌 대기업 진출을 원해 의도적으로 개성공단을 압박한다는 엉뚱한 말도 나온다. 오는 15일까지 긴장감을 최고조로 올린 이후 재보선 등이 마무리되면 잠잠해 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설도 시중에 나돌고 있다.연일 계속되는 북한의 위협에도 대한민국은 이렇다 할 혼란 없이 평온하지만 일부 국민들 사이에 북쪽의 움직임이 적잖은 부담이 돼 이같은 괴담과 사실확인이 안된 이야기가 SNS 등을 통해 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과거와 달리 사재기 등 볼썽사나운 일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성숙한 국민의식이 더욱 돋보이고 있다.박민규 기자 yushin@최대열 기자 dychoi@이현주 기자 ecolh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민규 기자 yushin@산업부 최대열 기자 dychoi@산업부 이현주 기자 ecolh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