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대북 감시ㆍ정찰능력 강화를 위해 중고도 무인정찰기(MUAV)의 체계개발에 본격 추진된다. 방사청은 다음 달에 MUAV 사업 입찰공고를 낸 뒤 상반기 중 제안서를 접수하고 오는 10월 시제기 제작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앞서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06년부터 MUAV 탐색개발을 추진, 2010년 5월 탐색개발용 시제기를 출고했으나 군 당국은 2011년 초 MUAV가 고고도 무인정찰기(HUAV) 도입 사업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사업을 취소했다. 그러나 국회 등에서 16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 탐색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 중인 사업을 취소하면 안 된다는 지적이 잇따르면 MUAV 사업은 되살아났고 작년 말 탐색개발이 완료됐다. 국방부는 최근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 대북 정찰자산 확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올해 MUAV 사업 예산을 260억원에서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350억원으로 증액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군 당국은 2017년까지 MUAV 체계개발을 추진, 2018년부터 전력화할 계획이다. MUAV는 10∼12㎞ 상공에서 지상의 목표물을 정찰하는 무인기로 탑재되는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100여㎞에 달한다. 금강ㆍ백두 등 유인 정찰기에 비해 체공시간이 약 24시간으로 길고 크기가 작아은밀성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군 당국이 해외 도입을 추진 중인 글로벌호크 등 HUAV가 약 20㎞ 상공에서200㎞까지 탐지하는 것에 비해서는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 군의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 구매하는 HUAV와 국내 개발하는 MUAV를 중복 운용하면 입체적인 대북 감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MUAV는 휴전선 북쪽 100㎞까지를 집중 감시하고, HUAV는 적진 깊숙한 곳까지 감시한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핵과 미사일 등 북한이 보유한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에 대비해 '킬 체인'을 구축하려면 MUAV와 HUAV는 필수적인 정찰자산"이라고 강조했다. 킬 체인은 적의 미사일을 실시간 탐지해 무기의 종류와 위치를 식별한 뒤 타격 여부를 결정하고 공격을 실시하는 일련의 공격형 방위시스템이다. 탐지에는 감시정찰위성, 무인정찰기 등 각종 고성능 정보자산이, 타격에는 미사일, 전투기, 함정 등이 동원된다. 국방부는 추경을 통해 MUAV를 포함해 함대지유도탄(해성Ⅱ),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화생방장비 차량 등 국내에서 개발하거나 도입하는 전력개선사업의 예산을 1천억원 이상 증액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는 시설공사 예산 증액분도 1천억원 이상 추경에 반영한다는 것이 군 당국의 목표다. 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