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영업정지 전 대규모 인출 논란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키프로스의 은행들이 2주만인 28일(현지시간) 다시 문을 열었지만 우려했던 대규모 예금인출, 다시 말해 '뱅크런'은 일어나지 않았다.키프로스 정부가 은행 영업 재개 직전 하루 인출 한도를 300유로(약 42만6100원)로 제한하는 등 강력한 자본통제 정책까지 내놓았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번 사태를 거치면서 키프로스의 내부 갈등은 더 깊어지고 있다. 은행 영업 정지 직전 거액이 인출되고 해외 지점을 통한 자금 빼내기 실태가 불거진 탓이다.독일 시사주간 슈피겔 온라인판에 따르면 지난 16일 국제통화기금(IMF)ㆍ유럽연합(EU)ㆍ유럽중앙은행(ECB) 등 이른바 '트로이카'와 키프로스의 구제금융 합의 발표 직전 키프로스 양대 은행인 라이키와 키프로스은행에서 거액이 빠져나갔다.지난 1월까지만 해도 라이키와 키프로스은행은 키프로스 예금의 40%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계좌 동결 조치에도 상당수 자금이 빠져나간 것이다.자금 대부분은 키프로스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해외 지점에서 인출됐다. 러시아ㆍ영국 같은 비(非)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키프로스 은행 지점에서 인출이 가능했던 것이다.예금이 2주 가까이 동결돼 소액 예금자, 급여나 대금을 지불하지 못한 기업의 고통은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다. 그러나 해외에 연줄이 있는 부자나 기업은 돈을 인출해 다른 나라로 송금했다. 자선용 자금 이체가 허용된 빈 틈을 노린 것이다.키프로스 국민의 분노 속에 중앙은행은 자금 이동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은행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다. 중앙은행은 계좌 관리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되레 거센 반발만 불러일으켰다.여론이 악화하자 키프로스 의회는 대규모 자금 인출자 명단을 중앙은행에 요구했다. 의회는 중앙은행 관계자나 정부측 인사들이 계좌 동결과 관련해 사전에 언질을 받고 자산을 빼돌리지 않았을까 의심하고 있다. 이에 니코스 아나스타시아데스 대통령도 관련자 수사를 지시했다.키프로스의 앞날은 부정적이다. 이오니스 카술리데스 외무장관은 "경제가 40년 전 터키의 침공 당시처럼 무참히 파괴된 상태"라며 "앞으로 키프로스는 오랫동안 재건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한편 키프로스 사태가 발칸반도 너머 동유럽으로 전염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업체 스탠더드앤푸어스(S&P)는 동유럽 국가들 가운데 체코ㆍ슬로바키아ㆍ폴란드의 금융체제가 상대적으로 건전하지만 슬로베니아ㆍ헝가리 은행의 대출은 부실 압력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