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북핵실험]북핵실험 풍계리지역은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3차 핵실험을 실시한 곳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지역이다. 풍계리 핵실험은 해발 2205m의 만탑산을 비롯해 기운봉, 학무산, 연두봉 등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첩첩산중이라는 표현이 적합한 지역이다. 풍계리 지역은 암반이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핵실험 이후 발생하는 각종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아 핵실험 장소로 좋은 조건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한ㆍ미 정보 당국은 풍계리 인근 지역의 굴착 움직임을 1990년대부터집중적으로 감시해왔다.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의 동쪽과 서쪽에 'ㄴ'자 모양의 지하 갱도를 뚫고 지난2006년 10월 9일 첫 핵실험은 동쪽 갱도에서, 2009년 5월 25일 두 번째 핵실험은 서쪽 갱도에서 각각 단행했다.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발생한 지진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1차 핵실험 폭발력은 1킬로톤(㏏)이었고, 2009년 2차 핵실험은 2∼6kt 정도로 추정됐다. 킬로톤은 TNT 폭약 1천t의 폭발력을 의미한다. 지하 핵실험으로 폭발이 일어나면 핵분열 반응으로 발생한 고열에 암반이 녹아내려 갱도를 막고 인체에 해로운 각종 방사성 물질이 퇴적물에 섞여 있기 때문에 한번 핵실험을 한 갱도는 다시 사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북한은 2차 핵실험 이후 풍계리 핵실험장에 남쪽 갱도 등 2개의 갱도를 추가로 뚫은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여름 한반도를 강타한 수해와 태풍으로 새로 판 갱도 두 곳 가운데 한 곳의 입구에 토사가 흘러내리고 일부 시설이 훼손되는 피해를 보았지만 대부분 복원한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은 1차 핵실험 때 사용한 동쪽 갱도는 폐쇄했으며, 2차 핵실험을 했던 서쪽갱도와 새로 판 남쪽 갱도는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해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은 이번 핵실험전에도 서쪽 갱도 입구에서 위성관측이 불가능하도록 가림막을 설치한 채 작업을 했으며 남쪽 갱도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교란전술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