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근 홍익대 미대 겸임교수
1957년 독일이 지원했던 연합공장인 중국 베이징 798은 따샨즈 거리에 처음 위치한 공장 산업단지였다. 독일 바우하우스 양식 풍으로 세워진 공장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비밀 군수시설로, 한때 정부가 개발을 하려다 쉬용 등 예술가들에 의해 지금의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된 곳이다. 1990년대에 이르러 국제적인 문화예술 공간으로 변신한 798은 이제 중국의 심장, 베이징의 문화적 공간, 국가적 아이콘으로 상징된다. 2003년 미국의 주간지 '타임'지가 세계에서 가장 문화 상징성을 띤 22개 도시 예술센터로 이곳을 선정했고, 뉴스위크지가 선정 12개 도시, 2004년 미국 '포천'지가 발전성이 있는 도시 20곳에 이곳 베이징을 꼽았다. 이제 베이징은 전 세계 최고의 예술 중심지가 되었다. 매년 따샨즈 국제예술제가 열리고 국제 미술시장의 메카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그 중심에 '굴뚝 없는 발전소'라 불리는 중국 예술의 메카 798이 있다. 중국미술 시장이 세계 1, 2위를 다투는 데에는 다 이런 이유가 있었다. 400여개의 전문 갤러리와 카페, 아트숍들이 몰려 있어 수천명의 관광객은 물론 세계에 거물들인 유명 컬렉터들이 모두 이곳을 거쳐 간다. 페이스 갤러리 등 유명 갤러리도 자리를 잡고 있다. 세계적인 작가들과 갤러리가 이곳을 통하여 스타가 되고 , 아트딜러들이 그림 장사를 시작한다. 북한 그림만을 취급하는 갤러리가 있을 정도이다. 프랑스 미술정보업체 아트프라이스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지난 6월까지 매출액 기준 세계 톱 10위권 미술경매회사 중 크리스티, 소더비, 필립스 드 퓨리에 이어 4위에 중국 인민해방군이 운영하는 폴리옥션이 이름을 올렸다. 그러다보니 2004년 독일의 슈뢰더 총리, 시라크 대통령, 사르코지 대통령, 배우 등 세계적인 명사들이 모두 이곳 798을 만리장성처럼 의무적으로 방문한다. 베이징 '798예술특구'는 불과 십여년 만에 세계적인 명소로 떠올랐다. 한국 현대자동차의 신형 아제라 발표회도 798 예술극장에서 개최했다. 작가들 사이에서는 국제적인 작가가 되려면 베이징에서 먼저 성공하라고 조언한다. 화랑과 작가 작업실 등이 몰려 있어 베이징 제1의 미술촌으로 변한 이 예술특구의 영향으로 그 일대에 9개 지역의 예술촌이 생겨나 공장지대를 갤러리로 바꾼 지우창(酒廠)과, 방공호를 활용해 창작촌을 만든 쑹짱(宋莊) 예술지구 등이 세계미술시장의 안방이 되었다. 이제 798은 중국의 소호, 베이징의 첼시, 베를린, 런던으로 불린다. 그러나 우리 인사동은 어떤가? 조선시대 도화서 때부터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의 거리, 70~80년대 최고의 골동품 상가 및 화랑, 표구사이던 이곳이 이제는 싸구려 중국 제품이나 음식점, 커피 파는 흔해 빠진 저잣거리로 타락해버렸다. 100여년의 역사를 지닌 미술계의 안방 인사동은 더 이상 사랑방조차도 못된다. 이제 더 이상 화가들은 인사동을 찾지 않는다. 컬렉터도, 화랑들도 비싼 임대료에 못 이겨 북촌이나 통의동, 삼청동, 한남동으로 인사동을 버렸다. 일부러 특구를 만들려고 해도 엄청난 돈이 들어가는 이 판국에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던 예술거리마저도 못 살리고 중국산 싸구려 인형 가게에 내어주는 이 한심한 지경을 어떻게 해야 하나? 궁핍한 우리 미술시장 여건에서 한 전시에 20억원씩 앗아가는 중국작가들에게 통째로 내어주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한결같이 입을 모은다. 요즘의 인사동을 "술집과 밥집만이 사람을 모을 뿐 껍데기 문화가 판치는 거리"라고 말이다. 문화는 정말 가꿀 줄 아는 민족에게만 가치 있는 것일까?김종근 홍익대 미대 겸임교수<ⓒ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