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기술 검증할 수거작업은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12일 장거리미사일(로켓)을 발사함에 따라 군당국이 서해해상에 낙하한 추진체 수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장거리미사일의 성공 여부는 물론 기술능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하 3호는 지난 4월 발사 때와 달리 1단 로켓 분리에 성공해 1단 추진체가 변산반도 서쪽에 낙하했고 2단 추진체 추정물체도 필리핀 근해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1단 분리 이후 오키나와 주변 섬 상공을 통과해 필리핀 동쪽 300㎞태평양 해상에 낙하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이에 제주해경은 덮개(페어링)가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즉시 애초 국제해사기구(IMO)에 통보한 로켓 덮개 낙하 예상위치인 제주도 서쪽 약 88km 주변 해역에서 3000t급 함정 등 경비함정 6척과 헬기, 항공기를 동원, 수색하고 있다. 국방부도 이날 장거리 로켓(은하 3호) 덮개가 예상낙하 해역에 떨어졌다고 밝혔다.군당국은 수색작업과 관련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세종대왕함이 9시 51분 최초로 포착했으며 52분에는 1단이 분리된 것으로 확인했다"면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을) 53분경에는 백령도 상공을 통과했으며, 58분경 오키나와 서쪽을 통과하면서 우리 이지스함 레이더에서 사라졌다"고 전했다.그는 정확한 발사시점에 대해서 "북한의 정확한 발사 시점은 역추산의 과정이 필요하고 현재 파악중"이라며 "1단, 2단 로켓의 낙하 구역에 대해서는 오후에 발표예정이며 낙하 물체에 대한 수색작업과 관련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하지만 군당국은 지난 4월에도 추진체 잔해물 수거작전을 한 바 있다. 당시 잔해물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해·공군 전력 함정, 항공기 등을 투입해 평택~군산 해상에서 탐색 및 인양작전을 벌였다. 당시 군당국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 장거리 미사일 잔해물 낙하 이후 실시하고 있는 탐색 및 인양작전을 17일 오후 5시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군에 따르면 당시 1단 추진체 파편은 17조각으로 분리돼 대략 마하 1.0 내외의 속도로 해면에 충돌했다. 본체 역시 고도 26.4㎞지점에서 마하 4.4의 속도로 낙하하면서 3개로 분리된 뒤 마하 2.0~2.4의 속도로 수면에 충돌했다. 따라서 추진체와 본체는 해면에 충돌하면서 더 많은 조각으로 분리됐을 가능성이 커 수색이 어려웠다. 이와 함께 미사일 잔해가 그 동안 침전된 다양한 다른 물질로 인해 식별이 어렵고 수색작전이 장기화 될 경우 해군 전력에도 공백이 우려된다.막대한 인양 비용도 부담이다. 쌍끌이 어선을 도입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도 있지만 민간 쌍끌이 어선을 활용하면 약 30억원의 인양비용이 소요된다. 당시 1단 추진체가 낙하한 구역까지 광범위하게 수색할 경우 약 130억원이 추가적으로 소요된다고 군당국은 예측했다. 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