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도 최하위비중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0.2%p 늘어..가계부채·고용의 질 악화가 부추겨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신용불량(채무불이행)이 최근 1년 새 24% 급증하면서 신용도 최하위등급 비중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26일 개인신용평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신용불량 신규발생지수'는 올해 3월 20.80으로 지난해 4월 16.83보다 23.6% 높아졌다.신용불량 신규발생지수는 매월 새로 발생하는 신용불량자를 나이스신용평가정보가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높을수록 신용불량자가 많이 쏟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신용도 최하위등급(10등급) 비중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집계한 10등급은 2010년 말 33만3000명에서 올해 5월 40만5000명으로 늘었다. 전체 등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84%에서 1.00%로 커졌다.신용불량자가 급증한 것은 가계부채와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직접적인 원인이다.전년 동기 대비 연체보유자 비중은 카드사와 할부금융사가 약 25%와 22%씩 급등했다. 저축은행(18%), 대부업체(12%), 상호금융(6%), 은행(5%)도 높아졌다.고용 측면에서도 상용직(정규직)보다 임시ㆍ일용직이나 생계형 자영업이 늘어 질이 나빠졌다. 그만큼 부채를 갚을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든 셈이다.2010년 1분기의 경우 상용직 근로자는 전년 동기 대비 65만1000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폭의 4.93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임시직과 자영업자는 줄었다.하지만 올해 2분기 상황은 정반대다. 상용직은 37만9000명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임시직과 자영업자는 7만3000명과 17만3000명으로 증가폭이 커졌다.전문가들은 부채와 고용(소득) 사정의 질적 악화가 최근 잇따른 '묻지마'식 범죄처럼 강력범죄가 빈발하는 바탕이 됐다고 지목했다.최일권 기자 ig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최일권 기자 ig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