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떠났던 우리나라 기업이 속속 본국으로 복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선 중국이 새롭게 노동법을 개정하는 등 외국인투자 기업에 대한 현지 혜택이 줄면서 경영 환경이 척박해진 탓이다. 여기에 유럽연합(EU)ㆍ미국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이 지원군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는 U턴 기업에 주는 혜택을 늘리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뛰고 있다.<편집자주>박재완 장관 복귀 기업 방문"혜택 늘려야" 현장 목소리지경부, U턴 기업 TF팀 구성 등 일괄 지원 체계 준비[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중국에서 액세서리 사업을 하는 A 기업은 인근에 있는 10개사와 함께 국내로 공장을 옮기기 위해 해당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 중이다. 성사 시에는 '집단 U턴'의 첫 사례가 된다. 국내에 공장을 신설한 후에 중국 공장 생산량을 조금씩 줄이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단번에 현지 사업을 청산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같은 성(省)에 있는 또 다른 40여개 한국 기업도 국내 U턴을 준비하고 있다.이에 앞서 2009년 청산 절차를 완료하고 국내에 복귀한 'U턴 기업'이 있다. 지난 2002년 일찍이 중국 톈진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가 8년여 만에 철수한 서울샤프중공업. 지난 23일 충북 진천 소재 본사에서 만난 이근우 대표는 "무턱대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던 것이 첫 번째 문제였고, 지적재산권 보호가 어려운 점과 현지 업체와 합작으로 인한 기술력 유출이 염려돼 과감히 철수했다"고 말했다.이날 U턴 기업 현장 방문은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했다. 박 장관은 U턴 기업의 본격적인 국내 유치를 앞두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직접 나섰다.U턴 기업을 위해 정부가 힘써줄 부분이 있느냐는 박 장관의 물음에 이 대표는 "세금과 인건비를 밀리지 않고 꼬박꼬박 냈지만 현지서 청산하는 데만 3년이 소요됐다"면서 "사실 양질의 정보를 정부가 앞서 제공하는 것 외엔 개별 기업이 알아서 해결할 문제가 더 많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중국의 경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기관을 통해 각 성별로 연구를 하고 있다"며 "좀 더 있으면 U턴을 희망하는 기업을 위한 실질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답했다.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는 업종별 U턴 태스크포스(TF)를 꾸리면서 지원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지경부는 24일 U턴 의향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 액세서리ㆍ의류ㆍ신발ㆍ전자ㆍ기계 등 5개 업종에 대해 업종별 U턴 TF를 출범했다. 지난 달 26일 발표한 'U턴 기업 지원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다. 조석 2차관 주재로 열린 출범 회의에서 주요 U턴 추진 사례가 첫 소개됐다. B사(기계업)와 C사(의류업), D사(신발업)는 공통으로 "해외 바이어가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고,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따른 관세 혜택을 누리기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현재 U턴을 추진 중이거나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지경부는 또 코트라 내에 'U턴 기업 지원 센터'를 설치ㆍ운영해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다음 달에는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중국 칭다오와 상하이에 U턴 기업 지원 데스크를 추가로 만들 예정이다.조 차관은 "법무부, 국토부, 산단공, 지자체 등과 연계해 수요 발굴부터 현지 청산, 국내 공장 설립, 투자 및 인력 확보까지 국내 복귀를 위한 전 단계 일괄 지원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집단 U턴을 준비 중인 50여개사가 5년 내 U턴에 성공할 땐 1만300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김혜원 기자 kimhy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