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 1년] (하) 생존게임 전략은

금융지주는 '신뢰',,중소형은 '서민'새 수익원찾기 나서[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1년 간의 구조조정을 거친 후 살아남은 저축은행들은 새판짜기에 돌입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대신할 새로운 먹거리를 적극 고민하는 한편, 서민금융으로서의 역할 강화에 나서겠다는 복안이다. 업계 최대 화두는 대형 금융지주에 인수된 저축은행들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여부다. 중소형 업체들은 이들이 당분간 적극적인 몸집불리기 보다는 보수적인 영업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위기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본격적인 영업이 시작돼야 판단할 문제지만, 대형 금융지주 업계와 중소형저축은행으로 업계가 양분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금융지주 저축은행 잇딴 출범..'신뢰의 이름으로' = 금융지주 저축은행들의 가장 큰 강점은 '신뢰'다. 시중은행 운영을 통해 체득한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나 경영 노하우를 가미한다면 새로운 저축은행 모델 정립도 가능하다는 평가다. 금융지주 저축은행은 서민을 유인할 수 있는 대출금리와 자산관리 컨설팅 등으로 저축은행의 본질을 지키면서도 계열 은행과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미 출범한 우리금융저축은행, KB저축은행 등은 연 10%대 대출금리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기존 저축은행 대출상품의 연 20∼30%대 금리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적금 및 예금금리는 일반 저축은행 대비 낮은 편이다.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경우 신한저축은행이 연 4.1%, BS저축은행이 연 4.2%로 업계 평균인 연 4.56% 대비 낮다. 1년 만기 정기적금 역시 각각 연 4.5%, 4.7%로 평균(연 5.04%)에 못 미친다. 이에 대해 한 금융지주 저축은행 행장은 "무조건적인 모객보다는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 기초체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적극적으로 수신액을 키울 필요도 없는 상황이다. 영업재개를 기준으로 신한저축은행은 총수신 1조5660억원에 총여신 6439억원이며, BS저축은행은 각각 8623억원, 4453억원이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1조18억원, 6093억원이며 KB저축은행은 1조6576억원, 5783억원 수준이다. ◆중소형 저축銀 "저신용층 흡수ㆍ먹거리 창출 나설 것"=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저신용층에 대한 대출을 통해 서민금융 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대형 금융지주사들이 앞 다퉈 '리스크 관리'를 언급하는 만큼 바닥권 신용등급에 대한 대출은 가급적 자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서다. 한 중소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역 밀착과 저신용 고객 대응면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다"면서 "특히 '빠르고 간편한 절차'를 통해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 역시 금융지주 저축은행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먹거리 부재에 대해서는 고민이 깊다. 금융당국이 할부금융과 체크카드업 등을 내놓은 상태지만 사실상 진출해 시장을 키우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일단은 금융지주 대비 적극적인 마케팅과 높은 예ㆍ적금금리를 통해 수신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신안과 신라저축은행은 1년 만기 예금금리가 5%에 달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중이며, 적금의 경우 세람(5.70%)스마트ㆍ참ㆍ영진(5.60%), 삼성ㆍ더블유ㆍ경기ㆍ남양(5.50%) 등이 업계 평균을 웃돈다. 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김현정 기자 alphag@<ⓒ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