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을 왜 사서…' 돈 날린 그들의 눈물

서울 재건축 시총 1년새 4조6000억 증발…소형·지방강세로 전국 시가총액은 5.3% 증가

[아시아경제 정선은 기자]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서울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이 1년 새 4조6000억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 아파트 총 11만1687가구의 시가총액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96조860억원에서 1년새 4.8% 줄어 91조4736억원으로 줄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총 11만1687가구의 시가총액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96조860억원에서 1년새 4.8% 줄어 91조4736억원으로 줄었다. <br />

이는 투자수요가 많은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대출규제와 글로벌 금융위기로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수요가 급감하면서 처분을 원하는 매물이 늘어났고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반면 올해 전국 아파트(총 686만1791가구)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보다 5.3% 증가한 1941조2185억 원이다. 지난 몇 년간 공급 감소로 지난해부터 회복세를 보인 지방 시장은 지역별로 개발호재까지 겹치며 올해 전국 시가총액이 상승하는 원동력이 됐다. 이에따라 지방·광역도시는 1년새 시가총액이 15.8% 증가, 올해 539조 5222억 원을 기록했다.지역별로 도안신도시 입주로 새 아파트가 늘어난 대전이 53조 5791억원으로 연간 22.1%가량 증가했다. 이어 부산은 지난해 보다 시가총액이 20.6% 증가, 119조 5498억원을 기록했다. 이달 입주를 시작한 세종시의 영향으로 충남도 1년새 시가총액이 18% 올랐다. 혁신도시 개발 등의 호재로 전북 역시 지난해 대비 16.5%가 증가한 30조2871억원으로 나타났다.서울과 수도권은 재건축 약세에도 불구하고 소형아파트가 약진하면서 시가총액이 1.8%로 소폭 늘어나 1401조6963억 원을 기록했다. 신도시 등 수도권 새 아파트 입주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아파트값 하락과 고가, 중대형 수요 감소로 지방에 비해 시가총액의 상승분이 적었다.규모별로는 실수요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시가총액이 다소 늘었다.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 아파트 시가총액은 1244조5049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6.3%의 증가폭을 보였다. 반면 전용면적 85㎡초과 중대형 아파트는 696조7136억원으로 3.6% 오르는 데 그쳤다.정선은 기자 dmsdlun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정선은 기자 dmsdlun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