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감독 강화?' 아랑곳 않는 보이스피싱

카드론 운영 강화조치에도 새로운 방법 동원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해 감독당국이 카드론 운영 방법을 변경했지만 범죄자들의 수법은 이를 비웃 듯 발전하고 있었다.최근 금융감독원은 카드론 이용시 카드사가 회원본인에게 전화해 확인하도록 했다. 보이스피싱을 통한 카드론 인출사고가 이어지자 등장한 궁여지책이다. 하지만 범죄자들은 이런 대응 조치를 비웃기나 하듯 이미 진화된 방법으로 또다른 피해자를 찾고 있었다.새로운 방법은 보이스피싱 피해자에게 직접 카드론을 받게 하는 것. ATM기에서 본인의 카드로 직접 카드론을 신청할 경우는 이번 감독당국의 예방조치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약점을 노린 경우다.피해자가 본인의 카드로 직접 현금인출기를 통해 카드론을 받게 한 후 이를 본인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하며 피해자를 안심시킨다. 본인의 계좌로 보내는 것인 만큼 우려를 할 필요 없다는 논리다. '개인정보 도용 피해자 여부를 확인 후 카드사에 전화해 원상복구 시켜준다'는 그럴듯한 해명까지 한다. 하지만 얼마후 '신원확인을 해야한다'며 다른 계좌로 송금을 하라고 요구한다. AMT기에서는 '국가기관은 절대로 금전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떠있지만 범죄자들은 끝까지 '안심해도 된다'며 감언이설을 푼다. '걱정되겠지만 전혀 우려할 것 없다'며 안심시키지만 천만의 말씀. 다른이의 계좌로 송금을 하면 그 순간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범죄자들은 심지어 "당신 계좌가 해킹당하고 있어 검사하고 있다", "당신의 휴대폰도 검사 중인데 문제가 많다"고 말한다. 물론 우리 금융거래 시스템이나 통신체계상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심지어 해커를 속이기 위해 스팸문자도 일부러 보낼 것이며 일정시간 휴대폰을 꺼 놓을 것을 요구까지 했다.피싱 범죄자들은 대포통장 사건 연루여부를 조사한다고 하며 수차례 은행을 오가게 하며 법무부, 검찰, 경찰 등 주요 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해 금융정보를 입력하라고 요구한다. 이 과정까지는 피해자를 현혹시키고 본격적인 피싱을 위한 사전단계일 정도다.최근 기자도 법무부 검찰과라는 전화를 받았다. 보이스피싱에 대한 의심이 들었지만 일단 호기심에 내용을 들어봤다. 기자의 계좌가 국제범죄조직이 사용한 대포통장이었다며 조사에 협조할 것으로 요청했다. 연변 말씨도 아니고 여러가지 질문에 능동적으로 대응했으며 전혀 놀라거나 당황해하지 않는 능수능란한 언변이었다. 심지어 네이트 정보 유출 사건을 예로 들며 피해가 없었는지까지 물을 만큼 치밀한 모습을 보였다. 당당하게 거듭되는 기자의 질문에 법무부에 전화해보고 인터넷상의 직원 검색으로 본인의 이름까지 확인해 보라고 했다. 기자도 깜빡 속을 뻔 할 정도였다. 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