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필 성수기때…'

가구업계, 전력사용량 의무감축 반발[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정부가 최근 전력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10% 절전안을 강제한 가운데 이번 방침으로 직접 타격을 입게 된 가구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전통적으로 가구생산량이 많은 12~1월에 생산을 못할 경우 기업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20일 가구업계에 따르면 한국가구산업협회는 최근 경규한(리바트 대표) 협회장 명의로 지식경제부에 '전력피크타임 의무감축에 대한 의견서'를 보냈다. 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이번 피크타임 의무감축 대책은 전력수급난 해소라는 목적보다 산업계 발전저해라는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며 "관련 업계에 너무 가혹한 조치"라고 평했다.가구업계는 우선 지난 5일 공고 후 열흘 만에 시행에 들어가 일선 기업들의 준비기간이 부족했다고 주장했다. 전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괄적인 규제를 가하는 점도 부담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생산물량에 따라 전력사용량이 결정되는 제조업의 특성상 전력사용량을 예측해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특히 올해 확장하려는 기업은 반드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대·중소기업간 차등적으로 감축 목표량을 정해준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규제안에 따르면 자가발전시설을 갖춘 대기업의 경우 감축목표량이 5%인데 비해 중소기업은 10%를 줄여야 한다.새해를 앞두고 생산물량이 몰리는 시기에 규제안이 일방적으로 시행돼 업계 불만은 더 높아지고 있다. 한 중소업체 대표는 "업계와 상의 없이 생산 피크기간을 감축기간으로 지정해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이러한 상황은 기업친화적이라는 현 정부 기조와도 맞지 않다"고 말했다.최대열 기자 dy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최대열 기자 dy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