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로버, 3D 영상 변환 사업 본격화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애니메이션 '라이언킹'이 3D로 재개봉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2D영상을 3D로 전환하는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3D 전문기업 레드로버(대표 하회진, www.redrover.co.kr )가 고품질 3D 콘텐츠 제작을 위한 3D 입체 변환 S/W기술을 통해 본격 사업화 한다고 5일 밝혔다. 레드로버가 개발한 SW는 3D 입체 제작의 높은 제작 비용과 3D 변환 기간도 줄여 3D 입체 시장 확산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3D 콘텐츠 부족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최재광 입체미디어랩실 이사는 “일괄적인 자동 변환 방식과 3D 입체 수작업 방식 기술을 적용해 원거리 배경까지 3D 입체 구현이 가능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최 이사는 또 “기존의 3D 컨버팅 소프트웨어가 변환 작업의 30%를 자동으로 하는 반면 레드로버의 S/W는 자동화율을 80%로 대폭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수작업이 많이 들어가는 3D 컨버팅 방식에서 제기되는 불규칙한 3D 입체감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입체감지도(Depth mapping) 방식을 채택한 자동 변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원거리 3D입체를 자동으로 구현하는 등 자동 변환율을 최대화한 것이 장점이다.최 이사는 “기존의 3D 컨버팅 작업보다 작업 시간은 30% 가량 줄이는 한편 3D 입체 영상 결과물의 퀄리티도 기존의 소프트웨어보다 50% 가량 증진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하회진 대표는 “ 3D 입체 변환 소프트웨어 자체 개발로 3D 입체품질 향상과 제작 소요시간과 비용의 절감효과가 있어 글로벌 3D 콘텐츠 제작 경쟁력까지 확보했다”며 “해외는 물론 현재 국내 사업중인 3D 실사 콘텐츠 제작, 3D 방송용 콘텐츠, 지자체 홍보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3D 입체 변환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최근 미국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9월 개봉된 ‘라이온킹’ 3D편은 미국 박스 오피스 2주 연속 1위를 하며, 미국 및 해외 등 총 1억5100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다.‘라이온킹 3D’의 흥행 성공에 힘입어 ‘미녀와 야수(2012년 3월)’. ‘니모를 찾아서(2012년 9월)’ 등의 흥행작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의 흥행 대작인 ‘스타워즈(2012년 2월)’과 ‘타이타닉(2012년 4월)’ 등이 3D로 변환돼 전세계 개봉을 앞두고 있다.국내에서도 2006년 1300만 관객을 동원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이 3D로 변환돼 내년에 관객들에게 다가설 예정이다.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