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로또 판매가 증가하는 때는 바로…?

[아시아경제 박승규 기자]직장인 박승현(29세, 가명) 씨는 매주 로또도 구입하고, 연금복권도 구입한다. 에 가입해 추천조합을 받아보기도 하고, 자칭 ‘로또 전문가’들의 분석 글도 참고해 가며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 중이다.이러한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최근 복권판매량이 큰 추세로 늘었는데,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매년 3%의 판매 증가율을 보이던 것과 달리 올해는 10%이상의 증가세를 보여 총 판매액은 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그런데, 이런 복권 판매량의 증가가 경기 악화 때문이라는 사실이 ‘속설’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기획재정부는 21일 “과거 30년간 복권매출 추이를 분석한 결과, 복권 매출이 30%이상 급증한 경우는 예외 없이 신상품이 출시됐을 때”라고 ‘복권매출 영향요인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실제로 복권 매출은 1983년 올림픽복권, 1990년 엑스포복권과 체육복권, 1993년 기술복권, 1994년 복지복권, 1999년 밀레니엄 복권이 출시했을 때 각각 154%, 71.5%, 35.3%, 44%, 30.6%의 증가세를 보였다. 로또 복권 출시 후, 2003년에는 332%의 엄청난 판매 증가율을 보였으며, 2010년에는 연금복권의 출시 이후 16.8%의 판매 증가가 점쳐지고 있는 상태다.기획재정부는 더불어 “복권 매출이 10%이상 감소했을 때도 판매가격 인하나 발행규제 또는 ‘복권 피로’ 현상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는데, 복권 피로 현상이란 ‘복권 발행 초기에는 새로운 방식에 호기심을 느낀 사람들에 의해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한 뒤 게임 방식에 사람들이 점점 흥미를 잃으면서 판매가 부진해지는 현상’을 뜻한다.이 같은 현상에 대해 국내 대표 로또정보 제공업체 관계자는 “그 동안 지속적인 경제불황 및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감이 복권을 구입하게 만들어 사행심을 조장한다는 이야기가 많았지만, 그 원인을 단편적으로 생각할 수만은 없다”면서 “복권 판매는 사업의 공익적 성격, 개인의 호기심과 행복감 등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승규 기자 mai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승규 기자 mai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