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투게더>, 탁재훈이 살렸다

<해피투게더> 시즌3 목 KBS2 오후 11시 5분사실 <해피투게더>가 ‘함께 하면 즐거운 목요일 밤’을 만들어주지 못한 지는 오래 되었다. 사우나에 둘러앉아 나누는 즐거운 수다 대신 함께하든 안하든 그리 아쉬울 것 없는 평범한 토크가 오고갔고, 오래 전에 낡아진 고정 코너는 굳이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었다. 과거의 편안함이 어느 순간 안일함이 되어버리는 것이 예능이다. 그런데 바로 그 예능을 쉬고 있던 탁재훈이 너무 오래 그 자리에 머물러 있던 이 쇼에 의외의 순간을 만들어 주었다. 오래 전에 활기를 잃었던 네 MC에게 “언제 봐도 유쾌한 분들”의 얼굴을 되찾아준 것이다. 자신이 진행하던 프로그램이 종영된 것과 비교해 돌아온 <해피투게더> PD를 성토하며 이야기를 시작한 뒤, 탁재훈은 한 번도 쉬지 않았다. “영화 얘기도 좀 해야 하는데” 그럴 시간조차 없었던 것은, 그가 기봉이처럼 멈추지 않고 달려준 덕이다. 가볍게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게스트에게 토크에 대한 부담을 지우지 않는 <해피투게더>에, 진지함을 거부하는 탁재훈은 가장 적합한 게스트다. 그런 탁재훈을 공격하면서 박명수의 캐릭터가 살아났고, 모든 게스트를 끌어안을 줄 아는 유재석은 유민에게서도 의외의 예능감을 끌어냈다. “왜 본인 프로그램은 그렇게 재미있게 안 해요?”라는 박명수의 질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지만, 확실한 건 탁재훈은 자신이 자유로울 수 있는 상황에서 일대일 토크쇼의 이경규 만큼이나 확실한 게스트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해피투게더>가 오랜만에 선사한 이 재미가 온전히 게스트의 예능감에만 의존한 것이라는 사실은, 이 쇼가 재미를 일정 이상을 유지하는 일이 앞으로 더욱 쉽지 않으리라는 것을 역으로 증명한다. 토크쇼에서 섭외는 정말 중요한 부분이지만 전부가 될 수는 없다. 변화가 요구된 지는 오래다. 한 차례 웃겼다고 쉬어가는 쇼가 될 것인가, 3시즌을 이어온 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것인가. 쉽지 않겠지만, 선택의 시간이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10 아시아 글. 윤이나(TV평론가) <ⓒ즐거움의 공장 "10 아시아" (10.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글. 윤이나(TV평론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