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안드로이드를 만든다고? 업계는 시큰둥

정부, 삼성-LG와 손잡고 모바일OS 개발 착수··제3차 WBS 프로젝트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정부가 한국판 안드로이드와 같은 한국형 모바일 운영체제(OS) 개발에 착수하겠다고 공개 선언했지만 업계는 시큰둥한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정부 주도로 개발했다가 실패로 끝난 '한국형 리눅스'와 '위피(WIPI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김재홍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은 22일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 체계를 대응하는 한국형 운영체제를 대기업들과 손을 잡고 공동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와 관련해 올해 10월 초 출범하는 제3차 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WBS) 프로젝트를 통해 삼성과 LG 등과 공동 컨소시엄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가 540억원을 지원하는 이번 컨소시엄의 목표는 3년내 한국형 OS 개발이다.삼성, LG 등 제조사와 통신사를 참여해 모바일 OS를 비롯한 웹기반 공개형 OS를 공동 개발해 우리나라 독자적인 OS를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뿐 아니라 해외사업자도 끌어들여 최대한 많은 사람이 O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구글의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로 제3차 IT 혁명이 일어난 가운데 애플의 아이오에스(iOS), 구글 안드로이드 등 외산 OS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앞으로 스마트폰 제조시장이 애플-삼성 2강구도에서 OS 중심인 애플- 구글- MS(노키아)로 변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독자적인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취지다.정부는 이같은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업계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정부가 인위적으로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게 시대착오적인 판단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구글, 애플 생태계 같은 퀄리티를 갖출 수 있을까 의문이다. 연구진 사이에서는 벌써부터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고 있다면서 "연구 인력은 어디서 충원할 지, OS 개발 후 소유권은 어디에 귀속시킬 지도 문제"라고 지적했다.또 다른 업계의 관계자는 "90년대 초반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과 같은 하드웨어에서 정부 주도가 통했지만 소프트업계는 다르다"면서 "과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운영체제에 대항해 정부 주도로 실패한 한국형 리눅스(OS) 개발 프로젝트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김승미 기자 askm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승미 기자 askm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