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문 中企회장 '유통·서비스업종, 대기업 횡포 여전'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제조업종을 중심으로 논의중인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이 유통·서비스업종 등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동반성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 이뤄진 만큼 보다 넓은 틀에서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야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8일 중소기업리더스포럼 개막식에서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되면서 제조업은 어느 정도 개선되는 조짐이 보인 반면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경우 판매수수료 문제가 여전히 나아지지 않는 등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이같은 지적은 최근 중앙회가 자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대형백화점 불공정거래현황과 같은 맥락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같은 조사에 들어가기 앞서 중앙회는 대형백화점에 입점한 중소기업을 상대로 직접 현황파악에 나선 상태다. 지나치게 높은 판매수수료나 판촉·마케팅비용을 떠넘기는 행위, 결제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는 일 등 불공정행위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외식 등 서비스업종 일부에 대기업이 무분별하게 진출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김 회장은 "대기업이 문어발식 사업확장으로 외식사업까지 진출해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중소 외식업계 존립기반을 위협하고 있다"며 "중소기업, 소상공인이 더 잘할 수 있는 사업영역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김 회장이 이처럼 다양한 업종을 거론한 이유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적합업종 선정작업과 무관치 않다. 최근 제조업종에 한해 중기적합업종 신청을 마감한 동반성장위원회는 향후 유통업종을 포함해 다른 업종도 중기적합업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아직 구체적인 일정이 나오진 않았지만 유통업 성격이 강한 기업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분야에서 일부 대기업과 중소상공인간 합의가 나온 터라 머지않아 업종·품목 신청을 받는 등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기조강연자로 나선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 역시 "(MRO사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할지) 위원회에서 논의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제주=최대열 기자 dy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최대열 기자 dy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