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스마트 서울 2015' 통해 최첨단 IT기술 전 분야에 본격 적용

[아시아경제 문소정 기자] 2015년이면 공공청사, 주민센터 등 서울시 전역의 공공시설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서울시는 2015년까지 행정, 복지, 산업, 생활 등 전 분야에 IT 서비스를 본격 접목하기 위해 준비중인 서울 정보화 청사진인 '스마트 서울 2015'를 8일 발표했다. '스마트 서울 2015'은 2015년 서울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 보급률과 무선인터넷 이용인구가 80%를 넘고 시민의 30% 이상이 스마트TV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정보화 대응 방안이다.이에 따라 그동안 추진한 정보화 사업을 바탕으로 총 8500억원이 투입해 스마트 기반구축(2011~2012년), 스마트 서비스 실행(2013~2014년), 스마트 고도화(2015년)를 연차별로 시행한다.서울시는 '스마트 서울 2015' 4대 중점과제로 ▲스마트 인프라 확충 및 정보격차 해소 ▲스마트 기기 활용한 맞춤행정 ▲사회안전도 제고 ▲일자리 창출 및 스마트 정보보안 세계Top3 달성으로 정했다.오세훈 시장은 "지난 20여년간 놀라운 발전을 보여준 IT기적이 미래에는 '스마트 서울'을 통해 또 한 번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며 "시민 생활 어디나 IT가 흐르는 편리한 최첨단 도시, 세계 최고 IT도시로서의 위상을 지켜나가겠다"고 전했다.◇ 스마트 인프라 확충 및 정보격차 해소 : 스마트 기술을 가장 잘 쓰는 도시먼저 서울시는 스마트기기 보급률과 무선인터넷 이용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가장 발전된 환경을 만들기 위해 2015년까지 공공청사, 민원실, 주민센터 등 서울전역의 공공시설에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WiFi(무선인터넷)를 단계적으로 설치한다. 고령층, 주부, 장애인 등 정보소외계층에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는 연간 20만명씩 5년간 총 100만명에게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을 실시한다. ◇ 스마트 기기 활용한 맞춤행정 : 시민과 소통하는 스마트 행정공인인증서 필요민원, 증명서 발급민원, 납부·결제·발급 민원 등의 행정서비스는 2014년까지 100% 모바일화한다. 연차별로는 2012년까지 37%, 2013년까지 62%, 2014년까지 100%로 늘린다.교육, 체육시설, 문화관광, 진료 등 시·자치구·산하기관 등 3만여개 공공서비스로 나눠져 있어 시민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했던 개별 예약업무를 1곳으로 통합한 차세대 맞춤형 예약시스템도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운영한다. 스마트TV에도 인터넷, 모바일에 제공하는 서울시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서울시 3대 전자정부 창구로 활용한다. 스마트패드, 전자책 단말 등 N-Screen 환경에도 대비하는 정책으로 채널 다각화도 시도한다. 200여개 홈페이지의 기반(플랫폼)을 통합해 홈페이지 운영비용을 30% 절감함은 물론, 인터넷,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다양한 정보매체에서 공동 활용하고 쉽게 유통될 수 있게 단일 정보체계도 구축해 시민 온라인 접촉률을 3배 이상 확대시킨다.서울시 홈페이지도 시민 맞춤형 개방형 IT환경으로 구축한다. 네이버, 구글 등 민간포털에서도 검색어만 치면 시민이 필요로 하는 공공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 서비스를 전면 개편한다.◇ 스마트 기기통한 사회안전도 제고 : 미래형 도시 생활 인프라스마트 기기를 통한 사회안전망 확대에도 힘을 쏟는다. 현재 설치된 CCTV의 지역별 격차(자치구별 최대 5배)를 단계적으로 해소하고 2015년까지 1만여대의 CCTV를 방범·도시안전에 공동 활용한다. 인력으로는 부족한 CCTV 실시간 모니터링 비율도 자동화로 보완해 현재 30.7%에서 100%로 끌어올리는 한편 비상벨 또는 위험소리 감지 IT기술적용 등 시민의 도움요청에 대한 CCTV 반응성을 높여 범죄율을 10% 이상 감소시킨다.실시간 위치기반의 u-서울 안전서비스도 2015년까지 587개 전체 초등학교와 저소득층 자녀, 정신지체장애인, 치매노인으로 대상을 확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유사 안전서비스와 연계하고 서울시의 플랫폼과 이동통신망을 활용하는 협업체계로 추진해 경찰, 소방, 학교보안관, 자치구로 연계한 긴급구조체계를 구축, 전국어디에서도 가능한 실시간 위치기반의 광역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자리 창출 및 세계 정보보안 Top3 달성 : 창의적인 스마트 경제, 글로벌 문화도시아울러 서울시는 데이터 마트를 개설해 공공정보를 공개, 공공서비스 개발과 IT산업의 발전도 유도한다. 서울시 전체 DB의 35% 이상인 150종을 공개할 계획으로 엄격한 데이터 품질보장 시스템, 민간 활용을 위한 데이터 가공, 보안관리 등 부가서비스와 병행해 추진한다.스마트 앱 전문가 1만명을 양성해 서울형 앱 비즈니스 산업도 육성한다. 기존 민간 앱 개발센터와 연계해 교육, 창업지원, 민관 협력사업을 추진, 2015년까지 앱 개발 인력을 3배 이상인 6000여명으로 확대한다. 성수 IT앵커시설엔 '서울 앱 개발센터'13개를 구축, 서울시가 직접 앱 산업 고급 전문인력을 2015년까지 3600명을 양성하고 1인 창조기업 600곳을 지원한다.스마트 정보보안 산업분야에서도 미국, 이스라엘 등 정보보안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암동 IT 콤플렉스(Complex)에 인큐베이터센터와 테스트 베드(Test Bed) 보안시스템을 구축해 스마트 정보보안과 관련된 50개의 기업 등을 지원한다. 특히 시민 생활과 밀접한 모바일 행정, CCTV 등 스마트 정보보안에 우선적으로 2011년 7300만원에서 2012~2015년까지 243억원(스마트폰 113억)까지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의 스마트 정보보안 산업 관련 인력도 2010년 6000명에서 1만명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문소정 기자 moons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문소정 기자 moons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