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대전 입지 최종결정, '과학계 숙원사업 해결'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 과학벨트는 이명박 공약에 앞서 과학기술계의 숙원사업이었다. 따라서 과학계는 이번 과학벨트 선정과정에 만족하지는 않지만 어렵게 결정됐기 때문에 앞으로는 정치권에 휘말리지 말고 추진됐으면 하는 소망을 전했다.과학벨트 입지 논란에서 주인공이어야 할 과학계는 뒷전이었다. 과학벨트가 지역개발사업으로 인식돼 각 지자체가 유치경쟁에 나서며 정치 문제로 번졌기 때문이다. 사업 진행에 대한 주요한 발언도 거의 정계에서 나왔다. 거점지구가 대전 대덕단지에 들어선다는 소식도 16일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 발표 이전 여권 관계자의 입을 빌려 전해졌다. 과학계로서는 직접적으로 발언하기 부담스런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과학벨트 정책개발에 관여해 온 과학계 관계자는 "정치 문제로 비화된 상황에서 어떤 얘기도 하기 어렵다"며 "과학계로서는 굉장히 중요한 사안인데도 '들러리'가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다.다만 대전 대덕지구 최종 입지 결정에 대해 과학계는 전반적으로 환영 분위기다. 정부출연연구소 29곳을 비롯해 카이스트 등 주요 대학과 기업체가 위치하고 있어 이미 인프라가 잡혀 있다는 판단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애초 공약일 뿐더러 향후 과학벨트 '자리잡기'에도 적절한 것으로 보고 있다.거점지구에 들어서는 중이온가속기는 원자력 연구에서부터 암 치료까지 폭넓게 사용돼 국내 연구개발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시설로 손꼽힌다. 기초과학연구원에 거는 기대도 크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장기간 안정적 지원을 받으며 대학 연구소나 정부출연연구소가 수행하기 어려운 기초 연구를 담당한다. 그간 응용과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 온 우리나라 기초과학에 전기가 될 수 있는 시설이다.그러나 기초과학연구원 분원 분산배치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한 과학계 관계자는 "애초에 괜히 연구원을 한 군데 배치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게 아니다"라며 "최초 과학벨트 추진계획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분산배치는 과학벨트의 원 목적인 시너지 효과를 해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분산배치는 정치적 이유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며 "지역갈등 '불씨'를 안고 가는 결정일수 있다"고 봤다. 김수진 기자 sj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수진 기자 sj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