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지금까지 어떻게 추진됐나(종합)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과학벨트는 2005년 당시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이던 민동필 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이 과학·인문·예술계 학자 그룹 ‘랑콩트르(Rencontre?만남)’에서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모여 토론 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하며 논의가 시작됐다.이어 2006년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이 그해 4월 ‘은하수 프로젝트(Milkyway Project)’를 만들면서 과학벨트를 그 안에 넣었다. 그 뒤 2007년 9월 한나라당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과학기술분과위원회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표공약으로 ‘국제과학기업도시’를 제시했다가 그해 12월 한나라당 대선후보공약집에 ‘일류국가 희망공동체 대한민국’(50쪽)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이 포함됐다.이명박 대통령은 대선후보시절 충청권 유세에서 과학벨트 충청권유치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대통령은 당시 대덕연구개발특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오창·오송단지를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들 계획임을 밝혔다. 사업엔 3조5000억원이 들어간다.이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만들어진 인수위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담팀(TF)이 설치됐고 2008년 10월에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지원단이 출범했다.2010년 1월 정부가 세종시를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수정안을 만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세종시에 넣겠다는 계획을 발표, 논란이 일었다.그 때 정운찬 국무총리는 세종시가 과학벨트의 최적지로 세종시를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바꾸는 수정안을 발표했다.그러나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 논란 속에서 그 해 6월에 수정안이 국회서 부결되면서 과학벨트입지가 세종시에서 전국 공모로 바뀌었다.정부 방침이 바뀌면서 대구·경북과 광주 등이 과학벨트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지난 달 22일 과학벨트를 유치키 위한 제안서가 교육과학기술부와 과학벨트위원회에 모아졌다.과학벨트위원회는 전국 39개 시·군 53개의 터를 대상으로 정량평가를 해 후보지 10곳을 정했고 11일 최종결정에 앞서 5곳으로 압축, 16일 최종 발표만 남겨뒀다.이영철 기자 panpanyz@<ⓒ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영철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