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기업 원가조작 검증 나선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방산업체의 원가조작 등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국가통합원가시스템이 본격 가동된다. 방위사업청은 4일 오후 2시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노대래 방위사업청장을 비롯한 LIG넥스원 이효구 대표이사, 삼성테크윈 이재혁 상무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통합원가시스템 1단계 시범체계 개통식을 개최했다. 노대래 방위사업청장은 인사말을 통해 "방위사업의 과제중 하나가 원가부풀리기, 허위자료제출 등 원가부정행위 근절"이라며 "국방통합원가시스템은 신뢰회복의 일환으로 구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영선 의원은 "국방통합원가시스템의 목적은 투명한 무기체계를 공급과 예산낭비 근절에 있다"면서 "무기획득에 대한 의혹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객관적인 시스템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국방통합원가시스템은 그동안 수작업으로 해왔던 방산업체의 원가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원가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체계다. 이 시스템은 업체가 제출한 원가자료를 자동화 계산하고 국세청, 관세청 등 유관기관과 연계해 세금계산서.수입신고필증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품목에 고유 식별자인 부품관리번호를 부여해 품목의 속성들을 관리하는 것은 물론 증빙서류가 전산화된다. 방사청은 이 시스템을 5월부터 두산DST의 K-21 장갑차 사업과 LIG넥스원의 휴대형지대공유도탄 신궁 사업 등 5개 사업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다. 시범운영에서 DB를 활용한 원가 추정ㆍ분석 기능 추가, 방산원가연계프로그램 보급 등의 보완작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는 7월부터는 전 국방조달업체를 대상으로 전면시행하게 된다. 노 청장은 이날 행사직후 방산업계 관계자들에게 "원칙있는 경쟁과 인센티브 경쟁을 강하게 추진하겠다"며 "품질강화를 위해서는 절차의 투명성도 강조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