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주목받는 문재인, 변방에서 정치 중심에 설까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정치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문 이사장은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장으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원한 친구'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 서거 2주기가 다가오면서 그의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최근 야권연대 협상 과정과 김해을 선거 패배로 후폭풍에 휩싸인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가 친노(親盧) 대표주자로서 타격을 받자 문 이사장에 거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민주당의 한 친노 인사는 4일 아시아경제와 통화에서 "유 대표가 가라앉으니까 이에 대한 대안을 찾는 심리적인 상황에서 문 이사장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문 이사장은 그동안 현실 정치와 일정거리를 둔 채로 지내왔지만, 최근 그의 정치적 발언은 구체적이고 직설적이다. 그는 지난 1일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해 선거의 패배는 누구의 책임이나 잘못이 아니라 지금 하고 있는 단일화가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라며 "가장 완벽한 방식은 당끼리의 통합"이라고 했다. 또 "유 대표와 국민참여당에 대한 비난은 안 된다"며 유 대표에게 집중된 정치권의 화살을 막는 방패를 자처하기도 했다.그가 대선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 "위기감이 큰 만큼 이런저런 가능성을 찾고 있으며 나도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해, 정치권에서는 한 때 출마 가능성을 열어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흩어진 친노 진영을 하나로 묶고 야권 내에서 통합의 기치를 들 수 있는 적임자가 문 이사장이라는 의미의 '문재인 역할론'은 친노진영에서 줄 곳 거론돼왔다.백원우 민주당 의원도 이러한 역할론에 대해선 부인하지 않았다. 백 의원은 "문 이사장은 참여당의 창당 전부터 분열을 반대해왔고 통합을 강조해왔다"며 "하지만 자신이 선수가 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 야권의 진정한 재편을 위한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청정회(참여정부 청와대 참모 출신 모임)의 한 관계자도 "문 이사장은 야권의 통합을 위해 '접착제'의 역할을 충분히 하겠다고 강조해왔다"고 말했다.김달중 기자 da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달중 기자 da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