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價 상승 배후엔 투기세력(?)..글렌코어에서 확인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세계 최대 규모의 원자재거래업체 스위스 글렌코어(Glencore)가 지난해 여름 러시아 가뭄 발생 초기에 밀과 옥수수 가격 상승세를 예고하고 투기세력으로 곡물시장에 가담한 정황이 드러났다.25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글렌코어가 600억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상장 주관사인 UBS에 기업 투자 내역을 공개했다가 곡물 투기에 나서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사실이 밝혀져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보도했다.UBS는 글렌코어 농업 담당 팀이 지난해 러시아로부터 매우 시의적절하게 러시아 봄~여름 시즌 작황 사정이 나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접수했고, 밀과 옥수수에 대해 매수 포지션을 취해 자기자본매매(Proprietary Trading)를 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또 지난해 여름 글렌코어가 밀과 옥수수 가격 상승에 베팅했을 때, 글렌코어 러시아 곡물 담당 대표가 직접 나서 러시아 정부에 밀 수출 제한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물론 글렌코어측은 러시아 곡물 담당 대표가 곡물 수출 제한 정책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을 러시아 정부측에 전달한 것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글렌코어의 요청이 있었던 직후인 8월 5일 러시아 정부는 곡물을 비축하는데 속도를 올렸고 각 수출업체들한테 수출 제한 명령을 내렸다. 그 결과 불과 이틀만에 곡물 가격은 15%나 뛰었다.글렌코어는 세계 원자재거래업체 가운데 러시아 밀을 가장 많이 취급하고 있는 만큼 밀 가격 급등과 회사 수익이 바로 연결된다.글렌코어측은 이에 대해서도 "우리는 러시아의 수출 제한 발표 이후 중동 국가에 공급하기로 한 곡물을 사들이기 위해 다른 곳에서 더 비싼 값에 매입했다"며 "러시아의 수출제한이 우리에게 수익을 줬다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해명했다.하지만 글렌코어의 지난해 농업부문의 이자·세금 상각전영업이익은 두 배로 급증한 6억5900만달러로 집계됐다. 미국 곡물 거래업체 카길(Cargill), 아처 다니엘스 미들랜드(Archer Daniels Midland) 등이 적자에 허덕였던 상황과 비교하면 월등한 성적이다.글렌코어의 IPO 증권 인수 신디케이트 중 하나인 리버륨캐피털은 글렌코어가 자기자본매매를 통해 거둬들인 수익이 전체 거래 수익의 한 자릿 수 퍼센트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투기세력이 껴 있다고 비판하는 등 세계 정상들이 곡물가격 상승 원인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는터라 글렌코어 같이 덩치가 큰 원자재거래업체가 국제 곡물시장 투기세력으로 곡물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것은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오는 6월 세계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은 모여 곡물시장에 대한 논의를 할 예정이다.박선미 기자 psm82@<ⓒ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선미 기자 psm82@ⓒ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