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한국형’ 토종헤지펀드의 출범이 멀지 않았다. 금융당국이 헤지펀드 운용의 족쇄라고 일컬어지는 투자분야·대상 규제를 사실상 없애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주범’, ‘공매도를 통한 자본시장을 교란하는 원흉’ 등 헤지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여전하지만 실보단 득이 많다는 계산아래서다. 이는 ‘한국 금융의 세계화’라는 김석동 위원장의 확고한 의지가 투영된 결과다.김 위원장은 취임 때부터 “글로벌IB(투자은행)과 헤지펀드 도입을 통해 글로벌 자본시장의 삼성전자가 나와야한다”고 강조해왔다. 특히 헤지펀드의 본래 역할인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추구해 금융산업의 발전동력을 삼겠다는 것이 그의 포부다. 31일 열린 자본시장제도개선 민관합동위원회에선 김 위원장의 한국 금융산업의 청사진이 녹아있다. 첫 장은 헤지펀드의 운용에 발목을 잡았던 투자대상과 방식에 대한 규제폐지가 골자다. 소위 ‘진짜’헤지펀드라고 할 수 있는 전문사모펀드에 대해 구조조정기업 50%이상 투자규제를 삭제하고, 차입한도 펀드재산 400%로 늘리기로 했다. 가입자격 전문투자자(대형증권사)로 확대하는 방안도 나왔다. 헤지펀드 산업은 2007년까지 연평균 20%대의 급성장을 지속했으나, 2008년 금융위기에 복합적인 악재로 인해 -30% 역성장했다. 하지만 2009년 이후 빠른 회복속도를 보이며 현재 운용중인 헤지펀드 자산은 2조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 헤지펀드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 국내에서도 2~3년내 본격적인 헤지펀드 설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증권 및 자산운용업계에선 “현 자본시장에서 필요한 욕구를 (금융당국이)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민국 VIP투자자문 대표는 “논의는 옳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M&A나 차입한도, 파생차익 등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 운용에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적지 않은 자문사들이 헤지펀드 시장을 보고 자문업을 시작한 측면도 있다”며 “사전등록자격, 적격투자 기준 등의 이슈들을 잘 다듬어 자문사까지 헤지펀드 운용이 허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 헤지펀드 운용능력이 걸음마 수준이고, 투자자들의 이해도가 떨어져 헤지펀드가 활성화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가질 것이란 지적도 적지 않다. 한 증권업 관계자는 “리스크가 크고 아무나 운용할 수 없는 만큼 감독당국이 운용능력이나 트랙코드 등을 갖춘 곳을 선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헤지펀드 가입대상을 어디까지 할 것이며, 어느 범위까지 투자대상을 허용할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양봉진 한국투신운용 글로벌AI본부 부문장은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결정이 안됐고 개인투자자 부분에 대해서도 ‘완화’라는 방향이 설정돼 있을 뿐 구체적인 안은 없다”며 “이 부분은 향후 추가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이와관련, 금융위는 헤지펀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도입 초반에는 건전성 규제를 하기로 했다. 전문사모펀드의 외부자금 차입한도와 파생상품거래 한도는 펀드 재산의 400%를 넘지 못하게 했다. 또 자격없는 헤지펀드 난립을 막기 위해 사전등록도 의무한다는 방침이다. 이규성 기자 bobo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규성 기자 bobo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