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모든 신축건물 내진설계 적용하는 방안 추진하겠다'

오세훈 시장이 서울 신청사 공사현장에서 내진설계 상황을 점검 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문소정 기자] "현행 건축법상 3층 이상 또는 1000㎡ 이상 건축물에 대해서만 내진설계토록 돼 있었지만 앞으로는 신축되는 공공과 민간건축물 모두 내진설계가 적용되도록 하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겠다."오세훈 시장은 16일 한창 공사중인 중구 태평로에 위치한 시청 신청사 내진설계 상황을 점검하는 현장에서 "일본 강진을 계기로 우리나라 건물의 현 상황을 되돌아보고 '안전도시 서울'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또 "최근 국회에서 행정안전위원회를 통과한 지방재해대책법 개정내용(지방세 감면 및 재해관련 보험료 차등 적용 등)을 포함하고 기존 건축물은 리모델링 시 용적률(10%) 인센티브를 부여해 내진성능 보강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리모델링 계획이 없는 기존건축물에 대해서도 현재 연구중인 단순보강 지원, 내진성능 자가평가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특히 오 시장은 "특히 학교와 병원의 내진설계가 문젠데 서울시 학교의 경우 전체 중 16%, 병원은 63%만 내진설계가 돼 있다"며 "학교와 병원 등 다중이용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지진발생 시 대피요령을 담은 매뉴얼도 올해 안으로 제작해 보급하겠다고 전했다.현재 국내 건축물의 내진설계는 1988년에 10만㎡가 넘는 6층 이상 건축물에 처음 실시됐다. 1000㎡ 넘는 3층 이상 건축물로 대상이 확대된 것은 불과 6년전인 2005년이다. 한편 이날 오 시장이 현장점검을 실시한 서울시 신청사는 재난 발생시 상황을 총괄하는 곳으로 규모 6.4의 지진을 견딜 수 있는 내진특등급으로 설계돼 공사하고 있으며 2012년 5월 준공 예정이다. 신관동은 지진에 안전한 구조를 확보키 위해 주요구조부인 기둥과 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및 철근을 30~40% 정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SRC(철골ㆍ철근콘크리트조)의 합성구조와 콘크리트 일체식 벽체를 적용시켜 수평 진동시 충분히 대응토록 설계됐다. 1962년에 건립돼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은 본관동도 중앙홀 벽체, 기둥 및 보 등의 내진구조를 보강하는 중이다.민간건축물 중 서울시가 디자인 심의를 강화해 심의한 후 최초로 준공된 서초동 GT타워도 내진설계 1등급으로 설계돼 건립, 약 6.0 정도의 지진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GT타워는 연면적 5만4583㎡의 지하 8~지상 24층 규모로 지난 2월 대림산업이 준공했다. 내진설계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지반이 강해서 지진이 일어나면 상하진동보다 좌우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런 수평진동을 견디게 건축물 내부의 가로축을 튼튼하게 만들어 건축물을 강화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번 현장점검을 시작으로 공공건축물 및 민간건축물에 대한 내진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지진에 대한 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문소정 기자 moons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문소정 기자 moons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