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대비 0.25%포인트 올린 2.75%로 인상키로 결정한 후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최근 물가상승에 있어 수요측면 요인을 강조, 향후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단 그 폭과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 총재는 이날 간담회에서 "(물가 상승)수요측면의 요인이 결코 작지 않다"며 "연초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에서 나타나 위협적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급측면의 부담은 당연히 있고, 연초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와서 위협적이라고 생각했다. 단 수요측면과 공급측면 모두 물가상승에 대한 기여도는 비슷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김 총재는 이례적으로 1월에 금리를 인상한 배경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 차단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통위에 판단에 의하면 물가상승 압력과 경제주체들 기대심리가 높아져가고 있기 때문에 지금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글로벌적으로 각 나라의 과제가 인플레이션 압력 수습. 과거의 경제정책은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정부가 행정력을 동원한 물가안정책을 마련한 것과 관련해서는 "경제정책은 미시·거시정책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느 정책이 우선하고 어느것이 후순으로 밀렸다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각 기관마다 담당하고 있는 사안에 최선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리인상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2.9% 상승했다는 것은 당초 목표였던 정책과제를 적절히 수행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금융위기가 없다면 기대수준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금통위가 보기엔 가장 적절한 선택을 하고 있다. 무엇이 적절한지는 시간이 흘러야 판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일부 의원의 반대 속에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총재는 "금리 인상 결정은 만장일치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편 김 총재는 일문일답 전의 모두발언을 통해 "국내경기는 수출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투자 등 내수도 증가하며 수출·내수의 동반성장 기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경제전망을 밝혔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힘입어 사상최고치인 442억달러를 기록했으며, 내수는 11월 중 건설투자와 소비가 증가세를 보였다. 주택시장도 회복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주택매매가는 지방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수도권에서도 9개월만에 처음으로 상승 움직임이 보였다"며 "전세가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하며 상승폭이 확대됐고, 주택가격 역시 전세수요의 매매전환 등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단 물가 부문의 상방리스크는 커졌다고 판단했다. 김 총재는 "물가는 국제유가및 농수산물 가격등의 상승으로 상방리스크가 커졌다"며 "소비자물가는 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상반기 중 3%대 중후반의 상승률을 지속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이지은 기자 leezn@<ⓒ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지은 기자 leez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