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청라 상가, '폭탄세일'에도 미분양 넘쳐'

[현장취재] 인천 송도·청라 상가 미분양 현장

인천 송도국제도시내 웰카운티 단지내 상가 전경. 이 동의 상가는 모두 비어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인천 송도ㆍ청라 등 신도시 지역의 상가가 미분양으로 인해 대거 남아돌고 있다. 분양업체들은 50% 할인 판매와 취ㆍ등록세 지원 등 갖은 마케팅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4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내 A아파트 단지내 상가. 구름이 잔뜩 낀데다 썰렁하기까지 한 날씨 만큼이나 상가 분위기도 우중충했다. 3000여가구의 입주가 끝난 지 오래된 아파트인데도 불구하고 전체 상가의 상당수가 텅 비어있었기 때문이다. 몇몇 세탁소, 부동산, 치과 등 '생활 필수' 점포만 눈에 띄었을 뿐 이 아파트 단지 상가는 3분의 2이상 비어 있었다. 방치된 지 오래됐는지 '분양 임대 문의'라고 써붙인 큼지막한 안내 종이는 비바람에 떨어져 나가기 직전이었고, 지난 여름 장마에 무성히 자라난 잡초가 인도의 보도블록을 뒤덮을 태세였다. 이처럼 입주 후에도 미분양 상가가 장기간 방치되자 아파트 시행사인 인천도시개발공사는 지난 7월부터 상가 가격을 최대 12%~49%P까지 할인하는 '대박 세일' 행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여전히 냉랭하다. 세일이 시작됐지만 이후 팔린 상가는 3채에 불과하다. 인천도개공은 "입주가 최근 마무리되고 주변 업무기능이 확대되고 있어 상권형성과 배후인구로 인한 상권 활성화가 기대되는 지역"이라며 대대적인 홍보를 했고, 최저금리(국민주택기금 이율ㆍ5.2%)에 잔금 5년 월분납이라는 혜택까지 줬지만 소용이 없었다. 인천도개공은 이에 따라 오는 11월까지 좀더 지켜본 후 상가 전체를 임대로 돌린다는 방침이다.인천도개공 관계자는 "워낙 분양시장이 침체된 탓인지 할인도 소용이 없었다"며 "빈 상가가 많아져 아파트 분위기가 침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임대 전환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돌아 본 이 아파트 입구 일반 상가를 비롯한 송도신도시 내 상가들도 대부분 상태가 비슷했다. 일부 활성화된 지역과 목좋은 곳의 1ㆍ2층 상가를 제외하곤 대부분 '분양ㆍ임대 문의' 딱지를 붙인 채 주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송도 신도시에서 돌아 나오다 들린 A부동산 관계자는 "분양대행사에서 최대 30%까지 세일하는 것을 봤지만 별로 효과가 없는 것 같다"며 "송도신도시가 생각보다 활성화가 늦어지는데다 앞으로도 많은 상가가 공급될 예정이어서 쉽게 상가 분양시장이 살아날 것 같지 않다"고 전했다. 청라지구도 상가 미분양이 넘쳐 나는 등 비슷한 상태다. 오히려 인구와 각종 업무시설이 늘어나기 시작하고 있는 송도신도시의 경우 비어있던 상가 2~3층도 슬슬 분양이 되고 있지만, 청라지구는 이제 겨우 목좋은 곳 1~2층만 분양됐을 뿐이다. 청라지구엔 현재 최근 입주가 시작된 아파트 3곳의 단지내 상가 마저 슈퍼ㆍ세탁소ㆍ부동산 등을 제외하면 텅비어 있는 상태다. 1700여 가구 중 30%가량 입주한 상태인데 지구내 상업시설이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들어설 예정이어서 단지내 상가 점포 입주가 반드시 필요한 주민들이 20~30분 가량 차를 타고 나가 인근 지역의 상업시설을 이용하느라 불편을 겪고 있다.내년 완공을 앞두고 지난해 9월부터 상가를 분양 중인 업체들은 쌓이는 미분양 적체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기존 분양자들을 의식해 대놓고 할인판매는 못하는 상황에서 취ㆍ등록세 지원 등 간접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청라지구 B부동산 관계자는 "상가 분양을 취급하던 대부분의 부동산들이 손을 떼고 일부만 남아 있는 상태"라며 "업체가 동원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도 한계가 있어 속앓이만 하고 있다"고 전했다.한편 내년 하반기 이후 청라지구 1단계 사업 지역내 1만5000여가구의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됨에 따라 올 하반기~내년 초가 청라지구 상가 투자가 적기라는 의견도 있었다. 청라114부동산 양석주 사장은 "현재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바닥을 쳤다고 판단된다. 청라지구 상가의 경우 1만5000가구의 아파트가 입주를 마치는 내년 하반기에는 상가의 공급이 부족할 수도 있다"며 "지금이 상가를 구입할 적기"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봉수 기자 bs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