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단협 대부분 무분규타결파업없이 성과금 휴가비용 챙겨협력업체는 상대적 박탈감 심해"큰 형님답게 한국경제 이끌때"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대기업을 쥐어짜는 것이 아니라 공정하게 하라는 얘기다. 대기업의 현금 보유량이 많은데 투자를 안 하니 서민이 더 힘들다."지난 23일 청와대 수석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던진 말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올해 임단협의 무분규 타결에 성공한 후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고통을 감내하며 최대 실적 달성을 이뤄낸 직원들에게 임금인상ㆍ성과급 등 거액을 선물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는 일부 대기업에만 해당되고 서민들이나 지역 중소기업에 경기회복의 온도가 확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이는 이 대통령이 대기업에 던진 불만의 핵심이기도 하다. 서민 경제 회복이 위축된 상황에서 하반기에는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와 마케팅을 통해 경기 부양에 기여해달라는 것이다.◆갈등 대신 상생 선택= 현대자동차와 GM대우자동차 등이 임단협 타결에 합의함에 따라 전체 종업원 수 1만명 이상 대규모 사업장은 기아자동차를 빼면 모두 협상을 마쳤다.반면 오는 29일 총파업을 결의한 현대제철을 비롯한 현대하이스코와 현대위아, 현대로템 등 현대차 계열사와 창원에 소재한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 S&T중공업, 조선업체중에는 한진중공업과 STX조선해양 등은 노사 대립을 지속하고 있다.일단 올 임단협은 현대중공업과 현대차, 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 노사가 대결이 아닌 상생을 택하면서 전체 협상 분위기를 주도한 점이 눈에 띈다. 지난 1일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 시행으로 노조의 영향력이 줄 것으로 우려한 각 기업 노조가 그동안의 상생협력을 포기하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하지만 노조가 무조건 사측에 반대하기보다는 직원들이 실질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혜택을 강조했고, 사측도 지난해 고통을 감내한 직원들에게 눈에 띄는 임금 인상 및 성과급을 제시해 타협의 실마리를 풀 수 있었다.덕분에 각 기업 종업원들의 주머니는 두둑해졌다. 현대차 직원들은 1인당 성과금과 일시금, 주식을 합친 금액(1594만원 상당)에 기본급까지 합산하면 최대 1998만원, 현대중공업은 1974만원에 달하는 돈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등 타결 기업들은 예년 수준을 넘는 돈을 받았다.◆'그들만의 잔치' 비난= 하지만 일부에서는 "자기들만 좋은 일을 했다"며 대기업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협력업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고, 서민경제도 위태로운 상황 속에 기업들의 돈 잔치가 과연 옳은 일이냐는 것이다.기업에 대한 차가운 시선을 보내는 이들은 지난해 임금 동결 및 반납 등 고통분담 덕분에 호실적을 거뒀지만 정작 시설 신축 및 확충, 마케팅 등 투자는 주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증시에 상장된 1522개 기업의 현금보유액은 전년보다 19.5% 증가한 96조9782억원에 달했다. 여기에 올 3~4월에는 저금리를 이용해 회사채를 발행하는 등 미리 자금을 확보하면서 현금 비율은 더욱 높아졌다.삼성그룹 26조원, LG그룹 15조원, 포스코 10조원 등 각 기업이 올해 사상 최대액을 투자한다고 발표는 했지만 실제 시장에는 투자의 긍정적인 효과를 거의 체감할 수 없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말로만 실적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경제를 이끄는 큰형들로서 대기업들이 보다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달라는 것이다.이에 대해 재계 고위 관계자는 "직원들의 기를 살려줬으니 이제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기업이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해달라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면서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에 더 힘을 쓰는 한편 고용 확대 및 영업망 확충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채명석 기자 oricm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채명석 기자 oricm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