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오는 2030년까지 총 27조5000억원이 소요되고 이 중 대부분을 민간에서 부담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지식경제부는 300여명의 기업계, 학계, 연구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16일 삼성동 한전 대강당에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안)에 대한 제2차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스마트그리드 로드맵 실무분과위원회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민ㆍ관의 합리적인 분담을 통해 2030년까지 총27조5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정부의 분담액은 2조7000억원으로 예상됐다. 초기에 핵심기술 개발 및 신제품 시장창출, 공공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기술개발 및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원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게 된다.민간의 분담액은 대부분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자발적 투자로 25조8000억원 규모로 추계됐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력망 IT화,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전력망 보안 등 기술개발에 7조원이, 전력 및 통신 인프라, AMI(지능형 원격검침), 전기자동차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20조5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로드맵위원회는 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는 2030년이 되면 총1억5000만t의 온실가스 감축(누적치), 연평균 5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누적치로 74조원의 내수창출을 기대했다.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에 따라 30조원의 에너지 수입 비용 및 3조2000억원의 발전소 투자비용도 절감될 것이라 발표했다.패널토론에서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정희돈 본부장은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기요금제도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우리나라는 철강ㆍ화학ㆍ자동차 등 산업 분야가 전력의 약50%를 소비하는 만큼, 산업의 고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 분야를 로드맵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GE에너지 이종연 이사는 "스마트그리드 산업은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추진하는 만큼, 해외고객의 요구에 대한 폭넓은이해와 우수한 기술력 및 제품을 보유한 외국 기업과의 제휴도 전략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정부는 로드맵이 추가적인 보완을 거쳐 내년초에 확정되면 제주 실증단지 및 제도정비 등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모멘텀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로드맵은 논의된 사항을 보완후 내년초에 최종 발표할 계획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