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12개 사회적기업 맹활약...인천시 지원 미미해 대책 마련 시급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사회적기업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의 역활과 사회 복지 서비스 제공이라는 비영리조직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는 모델로, 한국사회에 만연된 양극화 현상과 함께 더욱 각광받고 있다. 특히 신자유주의가 득세하면서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은 호황을 누려도 새로운 일자리는 창출되지 않고, 비영리조직들은 자립 기반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체적인 재화 생산ㆍ영업 활동을 통해 '홀로서기'에 성공, 저소득층의 일자리를 꾸준히 창출하는 사회적기업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인천 지역의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지자체의 지원 정책ㆍ문제점, 인천시의회가 추진 중인 지원 조례의 내용 등을 살펴 본다.
지난 8월 노동부가 인천에서 주최한 사회적기업 설명회. 참가한 이들은 노동부 인증을 받기 위한 사회적기업의 조직 형태, 기업 정관, 회계 기준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사진제공=노동부
◆ 인천 지역 사회적 기업 현황현재 인천 지역에는 노동부로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은 12개 업체와 사회적기업을 추구하고 있는 '예비사회적기업' 22개 업체가 활동 중이다. 전국적으로는 251개의 '인증' 사회적기업이 활동하고 있으며, 수도권에선 서울ㆍ경기에서 각각 57개ㆍ43개 등 총 100개 업체가 활동 중인 것에 비하면 인천의 경우는 아직까지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미약한 편이다. 기업 별로는 부평구 부평동에 위치한 '핸인핸'(대표 장영순)이 인천의 대표적인 사회적기업으로 꼽힌다. 지난 1999년 문을 연 이 곳은 칫솔이 주 생산품으로, KS 품질인증을 받고 인천시 품질우수제품으로 선정될 정도로 높은 품질을 자랑하는 업체다. 부평구 부개동에 있는 인천평화의료생활협동조합(대표 송일수)도 노인ㆍ장애인ㆍ저소득층 등 30여명의 취약계층 직원들이 노인환자 등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방문 진료 서비스, 재가간병서비스, 보건예방교육, 저소득층 진료사업 등을 제공하면서 일자리 창출과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의 '두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적기업이다. 이와 함께 베이비시터ㆍ산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해주민센터, 재가복지ㆍ간병 서비스 제공 업체인 다사랑복지간병센터, 결식아동 무료급식지원을 하고 있는 실업극복국민운동인천본부 급식센터, 저소득층 자녀의 방과후 학습 지도, 문화 체험 등의 활동을 펴고 있는 성미가엘종합사회복지관, 방문보육 전문 업체인 '다사랑방문보육사', 건설자재 도매업 및 소규모 건설공사를 주로 하는 한국자활중앙물류 등의 업체가 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인증을 획득했다.또 영농 지원과 안심먹을 거리 나눔 사업을 펼치고 있는 콩세알나눔센터, 결식아동 무료급식제조 및 배달, 유료도시락 판매 등을 하고 있는 대한성공회 유지재단 '행복을 나누는 도시락' 등의 업체도 인증 기업이다.'인천내일을여는집 도농직거래 상생사업단'도 도농직거래를 통한 실직자ㆍ노숙인 및 사거 취약 계층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만들기 사업으로 사회적기업 인증을 획득했고, '실업극복 인천 서구지원센터 아이맘사업단'도 실직여성의 자활을 위한 출장 산모도우미와 보육사업을 전개해 사회적기업으로 인정받은 업체다. 이와 함께 사회적기업으로 노동부 인증을 받지는 않았지만, '예비 사회적기업'도 '인천내일을여는집' 등 22개 업체가 활동 중이다. 대부분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ㆍ법인ㆍ연구소 등이다. 모두 정부가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빈틈을 메워주는 한편 저소득층ㆍ장애인ㆍ노인 등 취약 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곳들이다.
지난 8월 인천에서 개최된 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설명회. 17개 단체 25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사회적기업 인증 및 지원을 위한 노동부의 조건을 꼼꼼히 체크했다. 사진제공=노동부
◆ 인천시 지원 정책, 예산 1억원이 고작?노동부가 지난 2007년부터 사회적기업 인증제 및 지원정책을 실시하는 등 사회적기업에 대한 범 정부적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최근 사회적기업 1000개를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경기도도 지난 9월 말 지자체 최초로 대기업과 공공기관, 대학 등이 협력하는 체계적 사회적 기업 육성 시스템을 출범시키는 등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인천시 차원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책은 미미한 실정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사회적기업네트워크쪽의 요청에 따라 사회적기업들을 대상으로 마케팅ㆍ홍보 활동 지원 명목의 예산 1억원을 편성해 놓은 상태다. 하지만 이마저도 지원 사업을 위탁받은 인천경제통상진흥원 쪽의 사정으로 올해가 거의 마무리되고 있는 시점이 이날 현재까지도 단 한 푼의 예산이 집행되지 않았다. 인천시도 담당 직원을 두고 사회적기업 인증 업체들을 일일이 방문해 애로 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강구하는 등 나름대로 움직이긴 했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정책ㆍ예산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 9월 인천시의회 임시회에 상정됐던 '사회적기업 지원ㆍ육성에 관한 조례' 제정안이 통과되지 못한 것은 큰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노동부가 지난 2007년 인증 및 지원 사업을 시작해 2년간 임금을 지원받은 사회적 기업들이 올해 12월 말로 시한이 끝나면서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에 상응할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무산됐기 때문이다.조민호 인천사회적기업네트워크 대표는 "우리한테 필요한 것은 운영 예산인데 그나마 마케팅ㆍ홍보쪽으로 지원해 준다던 예산마저 집행되지 않고 있어 어려움이 크다"며 "시도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지만, 정책도 시기가 있는 만큼 빨리 지원책을 마련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