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국감]키코 손실 74%가 중소기업..환리스크 제거 필요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지난 2월 기준 통화파생상품인 키코(KIKO) 손실 3조9000억원 중 74%가 중소기업이라는 집계가 나왔다. 또 키코보다 위험한 것으로 알려진 스노볼(Snowball) 위험성도 커지고 있는 지적도 제기됐다.12일 조문환 한나라당 의원은 금융위원회 국감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08년 1월부터 지난 2월까지 기준 총 3조9130억원의 키코 총손실 중 중소기업이 2조8550억원을 차지한다고 밝혔다.특히 중소기업의 환헤지 상품 거래잔액은 전체의 24% 수준이지만 손실은 33%에 달해 중소기업이 고위험 상품을 더 많이 거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소유의 우리은행, 기업은행이 보유한 고위험 환헤지 상품의 92%가 중소기업이라는 분석도 나왔다.이와 함께 조 의원은 스노볼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지난 7월 스노볼 거래기업의 행사가격이 624원까지 하락해 원금의 66%인 총 15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전했다.행사가격이 일정 수준 고정돼 있는 키코와 달리 스노볼은 환율 상승 시 행사가격이 하락하며 손실이 급격히 확대된다는 설명이다. 조 의원에 따르면 환율이 월 20원씩 상승할 경우 손실은 키코 대비 다섯배 이상에 달한다.조 의원은 "환율 하락으로 환헤지 필요성이 다시 커지고 있으나 고위험 상품보다는 외화 자금관리를 통한 환리스크 제거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황상욱 기자 ooc@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