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자율교섭 타결 큰 성과
'제2의 쌍용차 사태'로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게 했던 금호타이어 사태가 극적으로 봉합되면서 지역사회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정리해고 통보, 전면파업, 직장폐쇄, 공장점거 등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오던 노사가 지난 5월 11일 상견례를 가진 지 117일, 첫 파업에 돌입한 지 꼬박 69일만에 잠정합의안을 도출해낸 것.아직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 절차를 남겨두고 있지만 노사 대치정국이 넉 달만에 풀리고 대량해고 사태도 피할 수 있게 되면서 경제계나 지역사회 모두 노사의 결정에 박수를 보내고 있다.특히 쌍용차 사태처럼 정부 공권력의 극단적 충돌을 피하고 노사간 자율 타결을 일궈냈다는 점에서 이번 사례는 현 정부들어 급속히 얼어붙은 노사관계에 모범적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회사 관계자는 "노사간 대화로 위기극복의 공감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고 자체 평가했으며 또 회사경쟁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 협력방안에 합의, 노사간 윈-윈의 상생안이 도출됐다는 점에도 의미를 부여했다.노조측도 '파국은 막아야 한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상당 부분의 요구안을 사측에 양보하고 극단적 투쟁을 지양했다는 점에서 여론의 지지기반을 다지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찮다. 사실상 이번 합의안에 대해 노조 내부에서는 '노조의 백기투항'으로 평가하면서 내부의 반발을 어떻게 잠재울 것이냐 하는 문제다. 당장 잠정합의안에 대한 8일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가 어떻게 나올것인가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향후 노조의 조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때문에 향후 노사관계 전망도 결코 밝지만은 않다. 지난해 임금 및 단체교섭에서는 431명의 구조조정안이 핵심 쟁점이었으나, 올해는 그 수가 64%나 많은 709명으로 늘었고, 무노동 무임금과 인력 재배치 등 전에 없이 강도높은 요구안까지 제시돼 일찌감치 예사롭지 않은 갈등이 예고됐었다.한 조합원은 "2000년 이후 신입사원 채용이 거의 없어 기계를 돌릴 근로자도 부족한 판에 확대된 정리해고안까지 나와 내년 임단협이 벌써부터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런 추세로라면 내년에도 구조조정 회오리가 잔잔하지 않은 것이라는 염려에서다.회사측이 임금 동결, 임금성 수당 유예, 복지 축소, 국내공장 축소 등 고용과 생존권을 후퇴시키는 안을 제시하고도 20여차례의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수정한 한 번없이 원칙만을 고수한 점도 향후 노사관계를 가늠해볼 수 있는 사례가 됐다.하지만 노사 양측이 파업에 따른 후유증 극복과 고객신뢰 회복, 합의사항에 대한 차질없는 실천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데 입장을 같이하면서 금호타이어가 갈등의 터널에서 얼마나 빨리 벗어날 수 있을 지 지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광남일보 박영래 기자 young@gwangnam.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광남-경제산업부 박영래 기자 young@gwangnam.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