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개발비 확보위해 눈에 불켠 쌍용차

담보권자 포스코와 포승공단내 부동산 매각 협의 진행중

쌍용자동차가 신차개발비 마련을 위한 운휴자산 매각 작업에 한창이다. 쌍용차 측에서 매각하겠다고 언급한 운휴자산 중 부평공장은 이미 매각돼 현재 법원의 최종 승인만 남겨두고 있으며 포승공단 내 부동산의 경우 담보권자인 포스코 등과 매각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가 지난 26일 입찰을 실시한 부평공장이 순조롭게 낙찰돼 다음주 법원에 승인 요청을 할 계획이다. 또 쌍용차는 한 차례 매각이 무산된 바 있던 영동 출하장도 매각 작업을 다시 진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이와 함께 쌍용차는 포승공단의 경우 앞서 부분 매각하고 남은 약 13만㎡의 부지와 건물을 팔기 위해 담보권자인 포스코, 대창스틸, 동명스틸 등으로부터 동의를 구하고 있다.포승공단 내 부동산은 쌍용차에 철강을 공급하는 포스코 등 3개사가 지난해 12월 어음 만기를 연장해주는 대신 담보로 설정했다. 담보 설정액은 총 376억원. 따라서 포승공단을 매각하기 위해서는 담보권자의 동의를 얻는 게 급선무다. 이에 쌍용차는 우선 포스코 측에 담보 해제 요청을 했다. 아직까지 양사간 실무선에서 협의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쌍용차는 향후 협의를 통해 대체 담보를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대안을 제안할 예정이다.포스코 관계자도 "쌍용차로부터 포승공단 내 부동산에 대한 담보 해제 요청이 온 건 맞다"면서 "포스코는 쌍용차와 서로 윈윈하는 방향으로 계속 협상을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해 앞으로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하지만 포승공단 매각이 앞으로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다. 쌍용차는 포승공단 매각 대금과 부평공장, 영동 출하장 등 운휴자산을 매각해 마련한 자금을 우선 신차 C200 개발비용으로 사용할 계획이기 때문.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어음 대금을 상환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쌍용차의 제안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쌍용차는 포스코와의 협상 시일이 지연돼서는 안 된다는 부담감도 안고 있다. 다음달 15일까지 제출해야하는 회생계획안에 자금 마련 계획이 포함돼야하기 때문이다.쌍용차 관계자는 "일단 다음달 15일 회생계획안을 제출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면서 "아직 회생계획안 제출 기간을 연장할 계획은 없으며 현재 자금 마련 작업을 무난하게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손현진 기자 everwhit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손현진 기자 everwhit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