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려운 경제여건에서도 올해 대기업의 상생협력 지원은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11일 대ㆍ중소기업협력재단(이사장 윤종용)에 따르면 지난 6월 상호출자제한 대상 41개 그룹의 주요 100개사에게 상생협력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대기업의 상생협력 지원금액은 전년 대비 33% 늘어난 평균 1665억원으로 나타났다. 또 지원업체 수도 지난해 평균 234개사에서 올해 260개사로 11% 정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대기업의 협력사 현황을 살펴보면 평균 협력사 수는 1829개사이며 이중 국내 중소기업이 79%로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수탁기업협의회에 가입된 협력사는 평균 99개밖에 되지 않아 6.8%의 소수 협력사만이 협의회에 소속된 것으로 분석됐다.위탁거래 규모는 대기업별로 10억원에서 28조원까지 큰 편차가 있었지만 평균 5조5700억원에 달하며 이 가운데 국내 위탁거래 규모는 3조8413억원으로 68%를 차지했다.응답 대기업의 97%는 협력사 지원을 위한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추진중이며 87%는 상생협력을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 평균 12명의 인력을 운용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상생협력 성과를 임직원 고가평가에 반영한다는 기업이 71%나 달해 상생협력이 기업의 경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상생협력 사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84%가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해 가장 많았으며 '경영에 별 영향이 없다'는 16%에 불과했다.상생협력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한 핵심 요소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6.5%가 '대ㆍ중소기업간 상호 신뢰'를 꼽아 1위를 차지했으며 '중소기업의 역량 제고'(51.4%)가 뒤를 이었다.
상생협력시 중소기업 문제점
상생협력 추진시 애로사항으로는 38%가 '글로벌 시장환경에 따른 가격경쟁'을 선택해 가장 많았으며 '중소기업의 역량부족', '인식미흡', '객관적 성과측정의 어려움' 등의 답변도 나왔다. 특히 상생협력에 있어 중소기업의 문제점으로는 대기업의 52%가 '중소기업의 역량'을 지적했으며 27.8%는 '상생협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을 답했다.상생협력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사업으로는 '인력ㆍ기술ㆍ판로 등의 협력사업 알선'(36.8%)과 '상생협력 분위기 확산'(31.6%) 등의 선두자리를 차지했다.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