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호재지역 중심으로 프리미엄 붙은 미분양
광양 등 인구유입 늘며 주택수급 균형 깨진 곳도건설사들, 파격 미분양 털기로 수요자 자극장기침체에 빠진 지방부동산시장이 기지개를 켤지 관심이 쏠린다. 지방 미분양이 5월을 기준으로 12만여 가구에 이르는 등 대부분의 지방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선 집 수요가 모자라 미분양에 수 천 만원의 웃돈이 붙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경기도 용인, 김포한강신도시, 인천 청라 등 인기 수도권지역의 인기를 타고 지방에서도 계약률 90% 이상을 넘긴 미분양아파트들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일부 지방 대도시에서 펼쳐지는 건설사들의 파격적인 미분양 털기 정책도 수요자들을 자극한다. 특히 탄탄한 개발호재를 낀 지역의 아파트는 계약률이 올라가며 ‘웃돈’이 붙고 있다. 찬밥 신세였던 미분양 물량이 ‘돈 되는 물건’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충남 천안시에서 964가구를 분양한 동일하이빌은 지난해 7월 첫 분양 땐 미분양률이 60%였다. 그러나 지금은 남은 물량 7∼8%만이 ‘임자’를 기다리고 있다. 당초 분양가는 3.3㎡당 750만원. 126㎡형의 경우 분양가가 2억8846만원인데 프리미엄이 3000만원 이상 붙었다. 분양 관계자는 “이 아파트는 주변여건이 좋아 아파트 분양 초기엔 지금보다 두 배 쯤 높은 프리미엄이 붙었었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은 국내 상위 6개 대형 철강업체가 자리 잡으며 집값이 들썩였다.일신공영이 당진에 지은 ‘남산공원 휴먼빌’ 분양권엔 최고 1600만원 정도의 프리미엄이 붙었고 한라비발디도 상반기에만 128㎡A가 650만원쯤 올랐다. 2003년부터 인구가 매년 3000여명씩 늘고 있는 게 이유다. 사실 당진은 부동산 회복 기운이 돌고 있다는 말보단 애초부터 ‘한파는 없었다’는 표현이 어울린다. 전북 군산과 전남 여수·광양은 집이 모자라 아우성이다. 삼성중공업이 군산에 지은 ‘수송공원삼성쉐르빌’은 2007년 첫 분양 때 한 채도 안 팔렸다. 그러나 지금은 1000만원 이상의 웃돈이 붙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새만금개발사업 등 굵직한 국책사업과 함께 서해안 고속도로가 뚫리고 장항선 복선 전철과 공주∼군산 간 고속도로가 공사에 들어가며 부동산 인기가 좋다. 여수는 엑스포를 유치한 뒤 아파트 값이 20% 가량 뛰었다. 대주건설이 여수 문수동에 짓는 ‘대주피오레’는 130㎡형의 분양가 1억8890만원에 500만원 정도의 웃돈이 붙어 있다. 전남 광양시는 올 상반기 아파트값 상승률이 3.5%를 기록했다. 서울과 수도권을 빼곤 전국에서 최고다. 최근 들어 인구가 월평균 300여명씩 늘며 주택 수급균형이 깨져서다. 광주 수완지구도 분양이 괜찮다. 우미건설이 지은 ‘우미린’은 지난해 연말 분양할 때 아파트 값이 분양가 보다 1000만∼1500만원쯤 떨어졌었다. 그러나 최근 주변 집값이 오르며 팔리기 시작해 분양률이 90%까지 올랐다.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지방 중에서도 개발호재가 분명한 블루칩지역의 경우엔 인구증가세도 뚜렷하다”면서 “그런 지역 중에서도 브랜드인지도, 단지규모, 입지여건 등을 갖춘 아파트들은 부동산시장 불황 속에서도 인기가 좋다”고 말했다.영남지방에서도 활기를 찾은 곳들이 나온다.포스코건설이 경남 거제에서 분양한 ‘거제 포스코더샵’은 지난 3월만 해도 미분양 물량이 전체 473가구의 절반에 달했다. 그러나 입주가 시작되고 아파트 실물이 공개되자 수요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졌다. 지금은 90% 이상 분양을 마쳤다. 부산에선 미분양물량을 털어내기 위한 건설사들의 파격 정책이 시장을 자극하고 있다. 올 초 줄어들던 부산지역 미분양이 4월 들어 다시 늘기 시작하자 건설사들이 안간힘을 쓰며 ‘털어내기’에 나선 것이다.부산 동래구 SK뷰 아파트는 분양가의 50%를 6년 뒤에 내는 납부유예를 도입했다. 이 아파트는 최근까지 미분양 아파트 83가구 가운데 분양예약분까지 포함해 모두 56가구를 팔았다. 부산지역 부동산중개업계 관계자는 “줄어드는가 싶던 미분양 물량이 다시 늘자 건설사들이 20∼30% 싼 가격으로 미분양을 팔기 시작했다”며 “부동산개발업체를 끼고 수백채를 한꺼번에 통매각 한다는 얘기도 들린다”고 말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