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 총파업, 초강수 배경은?

1차 관계인 집회 하루 앞두고 총파업 초강수 사측 일방적 구조조정에 반기...회생 결정에는 '악재' 회생 여부가 결정될 1차 관계인 집회를 하루 앞두고 노조가 결국 총파업을 선언하면서 노조가 초강수를 둔 배경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쌍용차 노조는 21일 오전 회사의 정리해고 방침에 강력 반발하며 총파업 돌입을 선언하고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노조는 22일 전 조합원을 평택공장에 집결시키고 본격적인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쌍용차 1차 협력업체 250여개사 중 50개사 역시 22일부터 설비 가동을 멈춘다는 방침이다. ◆사측 구조조정 강행에 초강수로 맞불=노조의 파업 돌입은 사실 시간문제로 받아들여졌었다. 그러나 회생의 열쇠를 쥐고 있는 관계인 집회를 하루 앞둔 시점에서 노조가 파업을 단행하면서 이번 총파업은 사측에 메가톤급 직격탄이 됐다. 사측이 구조조정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성공적인 인력 구조조정을 회생 결정의 첫 번째 선결조건으로 꼽고 있다. 법원도 마찬가지다. 법원은 최근 외부용역 실사를 통해 쌍용차의 존속가치를 높게 평가하면서도 '인력 구조조정이 계획대로 이뤄져야만 한다'는 단서조항을 달았었다. 사측은 법원에 제출한 자구안을 통해 총 2600여명의 인력을 정리해고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사측은 실제로 희망퇴직은 물론 분사 등의 적극적인 방법까지 구상하며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관리직 희망퇴직 신청에 250여명이 응했으며 최근 실시한 현장 생산직 희망퇴직 신청에도 적잖은 현장 근로자들이 응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사측에 결정타...회생에도 결정타?=그러나 노조가 관계인집회 직전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구조조정을 통한 회생계획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사측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쌍용차 한 관계자는 "분사 과정에서도 조합원들의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참 노조와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한숨을 쉬었다. 또 노조의 파업 결정이 쌍용차 회생 결정에도 결정차를 날리는 꼴이 되지는 않을지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채권단이 구조조정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가운데 노조가 이에 반발해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결국 사측이 구조조정을 위한 '노조 길들이기'에 실패했다는 인상을 주게 됐기 때문이다. 회생 여부를 고민하고 있는 채권단이 청산결정 쪽으로 기울 공산도 높아졌다. 쌍용차 측은 노조의 파업을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고 이에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구조조정은 노동쟁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노조와 대화 성립이 불가능했던 것도 노조가 정리해고를 철회하지 않으면 대화하지 않겠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노조, "일방적 정리해고 두고볼 수 없었다"=노조는 파업 돌입과 관련해 사측이 주도하는 일방적 정리해고를 더 이상 두고볼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쌍용차 노조 한 관계자는 "노조 입장에서는 정리해고가 수순대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가 필요했다"며 "대화를 요청하는데도 회사에서 답이 없는 상황에서 일정만 바라보고 있으면 어쩌겠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에서 희망퇴직 신청자를 받음은 물론 정리해고 명단을 계속 운운하면서 노조의 와해를 종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회사와 대립각이 커지는 상황에서 노조 내부 투쟁 동력의 와해를 우려해 총파업 돌입 시점을 앞당겼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또 쌍용차 노조 부지부장과 관련 노조 부지부장 등이 단행하고 있는 70m굴뚝 고공농성 등으로 노조 내부에서 '쟁의 무드'가 형성된 점도 쌍용차 노조가 때이른 파업에 돌입한 배경으로 풀이된다. 노조 관계자는 "법으로 보장된 쟁의권을 활용하는 것 뿐"이라며 "일부 언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옥쇄파업'이라는 표현은 노조에서 밝힌 바 없는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