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쌍용차 별도 회생방안 없다'

정부의 컨틴젼시 플랜에 ‘쌍용차 회생방안’이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9일 지식경제부 고위관계자는 “법정관리 신청에 들어간 만큼 법원에서 접수 여부를 판단하겠지만, 대주주인 상하이차는 더 이상 메리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것”이라며 “정부도 무한정 세금을 쏟아가면서 쌍용차를 살리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동차업종 컨틴젼시 플랜에는 쌍용차를 어떻게 살리느냐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평택 지역경제의 활성화, 근로자 전업, 쌍용차 부품업체 업종전환 지원 등이 컨틴젼시 플랜의 주된 내용”이라고 말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현재 쌍용차가 한 달에 100억원이상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적자 규모는 더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쌍용차의 경쟁력이 가장 약하다보니 제일 먼저 무너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원이 법정관리를 받아들이더라도 누가 제 3자로 나설 지 의문”이라며 “대우, 현대차, 르노삼성 등과 외국사도 별로 없어 정리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는 “최악의 경우 쌍용차의 자산, 부동산 등을 매각하고 청산 절차를 밟게 될 수 있다”며 “이 경우 쌍용차 부품업체들의 업종 전환 유도, 근로자 전업 등이 가장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 대책으로 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납품업체들을 지원하거나, 근로자 전업을 돕는 등 관련 여파 축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우증권은 이날 , 등 일부 부품업체들이 쌍용차로 인해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