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10명 중 6명 "생활비 부족"
부양은 가족·정부 책임
65세 이상 고령층 10명 중 6명은 생활비 대비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74세 고령층 절반가량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했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66~75세 30.5%, 76세 이상은 51.4%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보다 고령자 모두 상대적 빈곤율은 감소했으나, 66~75세 고령자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 격차는 확대됐다.
2021년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65~74세, 75세 이상 가구는 각각 59.3%, 63.8%로 집계됐다. 10년 전 대비 65~74세, 75세 이상 가구 모두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늘었다. 주관적 소득수준은 2011년 65~74세 57.5%, 75세 이상은 61.6%였다.
2021년 65~74세, 75세 이상 고령자의 주된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각각 78.7%, 46.0%로 가장 높았다. 자녀·친척 지원은 10년 전보다 감소했다.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이 가장 높았다.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였다.
65~74세 고령층 46.8%는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로 인식했다. 7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해당 비율이 59%로 커졌다. 그나마 10년 전인 2011년과 비교하면 각각 10.5%포인트, 6.1%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65~74세 고령자 중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이들은 전체의 66.8%로 집계됐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75세 이상 고령자는 전체의 42.7%에 불과했다. 75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6명은 노후 준비를 못 하고 있는 셈이다.
생활비 부족에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도 급증했다. 2022년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는 59.6%이고, 75~79세 고령자는 39.4% 등으로 나타났다. 10년 전보다 각각 11.9%포인트, 11.8%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65~74세 고령자 56.7%, 75세 이상 고령자 중 52%는 부모 부양이 가족, 정부, 사회의 책임이라고 인식했다. 부모 스스로 자신을 부양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진 65~74세 및 75세 이상 고령자는 각각 13.6%, 12.1%에 그쳤다.
한편 올해 국내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한 비중은 18.4%로 집계됐다. 고령화 비율은 2037년 31.9%에 달할 전망이다. 2037년에는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6%로 65~74세 인구 비중(15.9%)을 넘어설 전망이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