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미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원전 해체 공사의 경험을 고리 1호기를 비롯한 국내 원전 해체 사업에 적용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3일 전했다. 고리 1호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체 승인이 난 원전으로 아직 사업자가 결정되지 않았다. 다만 현대건설이 과거 시공한 데다 중간 개보수도 진행한 경험이 있는 만큼 해체도 맡을 가능성이 있다.
이 회사는 국내 건설사 가운데 처음으로 미국 원전해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원전해체는 영구 정지부터 안전관리, 사용 후 핵연료 반출, 시설 해체, 부지 복원 등 최소 10년 이상 걸린다. 전 세계로 봐도 해체를 마친 사례는 25기에 불과하다. 현대건설은 2022년 미국 홀텍사와 인디안포인트 1~3호기 원전해체 협력 계약을 맺고 현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 직원이 직접 현장에 파견돼 전문 기술을 상호 교류하면서 익히고 있다고 한다.
현대건설은 1971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한국형 원전 24기를 시공했다. 고리 1호기 증기발생기 교체공사 등 노후원전 설비개선 공사에도 참여하며 해체 관련 경험을 쌓아 왔다. 미국 인디안포인트 프로젝트에서도 원자로 구조물 절단 및 오염 장비 해체를 비롯해 사용후핵연료 제거·저장시설 이송, 건물 해체 및 폐기물 관리 등 원전해체의 핵심 공정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2019년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한 '해체 원전 부지 오염 및 규제 해제 안전성 평가' 과제를 맡아 관련 기술을 확보했다. 지난해부터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등 국내 영구정지 원전의 부지 상태를 확인하고 원전해체 절차를 수립하기 위한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원전해체의 전초전 단계를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지금 뜨는 뉴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은 2050년 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며 "오염토양 복원 등 제반 기술은 물론 노후설비 관리와 구조물 해체, 사용 후 핵연료 건식저장 및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역량을 쌓고 있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