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내 일각서 '정책 혼선' 비판
"해산 사실 아냐" 의견 등 혼란 여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측 싱크탱크로 주목받던 '성장과 통합'이 24일 정책 혼선과 공직선거법 위반 논란 속에 출범 8일 만에 해산했다. 하지만 내부에선 해산은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도 나오는 등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성장과 통합은 이날 '기획운영위원회 일동' 명의로 낸 해산 선언문에서 "지난 23일 오전 11시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획위는 "그동안 이념과 진영을 초월해 실용적인 정책과 비전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길잡이가 되고자 지혜를 모아왔다"며 "위원회별 온·오프라인 회의 등으로 정책보고서를 완성해 하나의 마침표를 찍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한자리에 머무르지 않기로 결단했다. 지금 여기서 멈추지만 멈춤은 곧 새로운 출발"이라며 "앞으로도 각자의 자리에서 성장과 통합의 정신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지난 16일 국회도서관에서 각계 전문가 5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출범했지만 이후 예고했던 일정을 미루며 도리어 활동을 멈춘 듯한 모습을 보였다. 오는 28일 첫 공개 일정으로 인공지능(AI) 분야 심포지엄을 열 계획이었지만 순연했고 유종일 상임공동대표는 지난 22일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려다 취소했다.
하지만 유종일·허민 상임공동대표는 "발전적 해체라는 의견도 나왔지만, 최종 결의된 바 없다"며 반발했다. 이들은 이날 낸 입장문 "'성장과 통합' 해체에 관한 보도자료는 유종일 허민 상임공동대표가 인지하지 못한 내용"이라며 "정책 제언집을 완성한 후 향후 활동 방향을 논의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정책 제언집을 특정 캠프에 전달하는 것은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을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정당에 전달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라며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책 생산이라는 본래 기능과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성장과 통합이 경선 단계부터 지나치게 주목받으면서 오히려 혼란을 불러일으켰다는 우려가 나왔다. 일부에서는 이 후보 캠프 측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경고의 메시지가 간 것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됐다. 실제 당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정책들이 다른 경로를 통해 마치 민주당의 공약 혹은 이 후보 캠프의 공약인 것처럼 알려지는 일에 적잖은 경계심을 드러냈다.
지금 뜨는 뉴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후보가 결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설익은 정책공약 보도가 쏟아지는 것에 대해 당 내외 우려가 크다"며 정책위 차원에서 이런 보도에 대해 경위를 파악하고 재발 방지 및 징계 요구 등 대책을 검토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