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車부품 관세 완화 가능성 시사
美 자동차 및 부품업계, 정부에 관세 유예 적극 피력
업계는 일단 안도…추가적인 완화 조치 기대
S&P "관세 부과 시 올해 美 생산량 94만대 줄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련 일부 관세 면제 조치를 시사하면서 국내외 자동차 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이번 관세 완화는 미국 빅 3 업체는 물론 국내 완성차 업체의 생산과 수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이 될 전망이다. 업계는 추가적인 완화 조치도 기대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TF) 등 현지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업체를 위해 자동차 부품 관련 일부 관세 면제 계획을 검토 중이다.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명분으로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20%의 관세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25%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겠다는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같은 트럼프 정부의 조치를 미국 완성차 업계를 살리기 위한 대책으로 보고 있다.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해외 업체는 물론 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을 대표하는 디트로이트 3사가 생산하는 680만대 완성차도 영향권에 들게 된다.
미국 민간연구기관인 자동차 연구 센터(The Center for Automotive Research)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로 미국 완성차 업계 전반에 늘어나는 비용은 1077억달러 규모이며, 그중 40%에 달하는 419억달러를 디트로이트 3사에 부담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미국 빅 3 완성차 업체도 관세 부과를 유예해달라며 정부에 적극적인 의견을 전달했다. 지난 21일 미국 완성차 및 부품 업계를 대표하는 6개 단체도 미국 재무부와 상무부에 관세 조치를 완화해달라는 서한을 보냈다.
단체는 "대부분의 업체는 갑작스러운 관세로 인한 혼란에 대비할 수 있는 자본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많은 업체가 생산 중단, 근로자 해고, 파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미국을 위주로 한 공급망 재편에는 동의하지만 글로벌 공급망을 하루 만에 또는 몇 달 만에 재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는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 내 완성차 생산을 늘리고자 유도했으나 전문가들은 오히려 올해와 내년, 미국 내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전 세계 공급망 흐름에 차질이 생기면서 미국은 물론 한국, 일본 내 자동차 생산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다.
24일 시장조사기관 S&P 글로벌 모빌리티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북미 권역 승용차 생산량은 지난해 대비 94만400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는 77만8000대 감소가 예측된다. 관세 부과에 따른 생산량 조절, 소비자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감소 등이 더해진 결과다.
이 기관은 한국의 경우 올해 11만2000대, 내년은 20만3000대가량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은 올해와 내년 각각 30만대의 생산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더 큰 감소 폭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지금 뜨는 뉴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조치를 완화하면서 일단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며 "무분별한 관세 부과는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부품사에 대한 수익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영세 부품사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