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앞두고 '황금연휴' 기대감
정부, 잇단 공휴일 지정에 부담감 커
5월 초 황금연휴가 다가오면서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누리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글이 잇따른다. 올해는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5월 5일로 겹치면서 5월 3일 토요일부터 대체공휴일인 6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예정돼 있다.

여기에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라 공무원을 제외한 직장인 대부분이 쉬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사이에 낀 2일 금요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최장 엿새까지 쉴 수 있다. 누리꾼 사이에서도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것 같다'.'너무 촉박해서 지정 안 할 것 같다'.'할 거면 빨리해라' '지정할 경우 선거에서 표 얻으려고 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등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설 연휴에도 내수 활성화를 위해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바 있다. 당시 설 연휴와 주말 사이에 낀 월요일인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직장인들은 엿새를 연달아 쉴 수 있었다. 하지만 19일 전에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 가운데, 일각선 임시공휴일 지정의 내수 진작 효과가 미비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지난 설 연휴 때만 보더라도 여행 수요가 해외에 집중됐었다. 지난 1월 출국자는 전년 대비 7.3% 증가했으며 지난해 10월 임시공휴일 시기에도 해외 출국자 수는 1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이 가운데, 대통령 선거일인 6월 3일이 이미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상황이라 정부가 연이어 공휴일을 지정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는 여당과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의 협의 후 인사혁신처가 국무회의에 안건을 상정해 결정하는 가운데, 정부는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설을 한 차례 부인한 바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